박정모 경인여자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jpg
▲ 박정모 경인여대 간호학과 교수
노인 인구가 증가하면서 노인성질환 문제도 역시 증가하고 있다. 노인성질환 중에는 경제적인 부담과 신체 사회적 부담이 모두 함께 존재해 본인은 물론 가족이 감당하기 어려운 질환들이 있는데 치매를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최근 자료에서는 노인성질환 중에서 치매에 대한 1인당 진료비가 가장 높은 비율로 상승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어 치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치매를 무섭게 여기는 이유 중에는 아직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현재로서는 조기 발견해 진행을 조금 늦춤으로서 일상생활을 더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최선이다. 그나마 이것도 정기적으로 검진해 조기 발견했을 때 빠르게 진행되지 않도록 노력을 해야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본인과 가족의 이해, 노력과 협조가 있어야 한다.

치매는 인지기능이 저하되면서 이에 따른 판단력, 일상생활 수행 능력 등이 함께 감퇴돼 발병 전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없는 것이 특징인데 이 특징 때문에 치매를 더욱 두렵게 한다.

요즘은 치매 조기발견을 위해 치매통합지원센터나 보건소에서 간이검사를 함으로써 치매를 발견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이런 공공기관의 노력으로 치매를 예방하고 바로 알도록 홍보하면서 치매로 이행하기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경도인지장애는 정상 노화와 초기단계의 치매 사이에 있는 과정으로서 치매진단이 내려지기 전에 병리적 변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을 조기 발견할 수 있는 이정표가 되고 있다. 경도인지장애 단계부터 지속적 검진을 통해 인지저하를 정기적으로 체크하고 재활훈련이나 필요하면 약물치료 등을 통해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 치매 예방사업의 목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많은 지역주민들에게 치매에 대한 인식과 홍보가 부족해서인지 아니면 치매에 대한 두려움 때문인지 선별검사를 하고 검사 결과 경도인지장애로 나타나 정밀검진을 받아봐야 할 것 같다고 하면 정밀검진이라는 단어에 예민하게 반응하며 치매가 아닌데 치매라고 한다며 화를 내는 분들이 종종 있다. 또한 경도인지장애 경우 병원으로부터 치매가 아닌 것으로 설명을 들어서 더욱 화를 내는 분들이 있다. 경도인지장애 단계부터 재활 프로그램 참여, 가족 모임 참여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다른 분들의 경우를 알 수 있는 기회도 있고 재활효과도 볼 수 있는데 질병에 대한 인식 거부부터 하여 다음으로 더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경도인지장애 경우에는 일상생활 수행 능력이 가능하므로 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이 어렵지 않다.

인지기능의 향상을 돕는 다양한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치매로 이행하는 것을 늦추는 것이 이 단계에서는 중요하다. 이미 치매로 이행되면 많은 도움 없이 혼자서 프로그램 참여를 위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으므로 경도인지장애 단계에서 적극적으로 작업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해 인지기능을 유지시키도록 노력해야 한다.

치매로 나타나는 증상은 두렵기는 하지만 검사해 나타난 결과를 부정해 우리에게 결과적으로 해결되는 것은 없다. 보건소나 치매통합지원센터에서 정기적으로 선별 검사받을 것과 진단이 나오면 경도인지장애부터 관리할 것을 적극적으로 권한다. 치매로 이행하는 과정을 조금이라도 지연시키기 위해서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