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은 멜로영화의 계절이다.

 기온이 뚝 떨어지고 찬바람이 불면 가슴을 덥히고 감성을 채우는 사랑 이야기에 끌리게 된다.

 그러나 2010년대 들어 극장가에서 한국의 멜로영화는 큰 환영을 받지 못하고 있다.

 올해 개봉한 한국영화 가운데도 정통 멜로영화는 정우성·김하늘 주연의 ‘나를 잊지 말아요’(이윤정 감독)와 공유·전도연이 호흡을 맞춘 ‘남과 여’(이윤기) 정도가 꼽힌다.

AKR20161025027800005_03_i.jpg
▲ 나를 잊지 말아요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반만 해도 한국의 멜로물 위상은 달랐다.

 ‘접속’(1997)이나 ‘편지’(1997), ‘8월의 크리스마스’(1998), ‘동감’(2000), ‘클래식’(2003), ‘내 머리 속의 지우개’(2004) , ‘연애의 목적’(2005) 등 사람들의 뇌리에 남을 만한 명작 멜로영화들이 쏟아져나왔다. 이후 2010년대 들어서 411만 명이 본 ‘건축학개론’(2012)과 665만 명을 동원한 판타지 멜로 ‘늑대소년’(2012)이 정점을 찍은 뒤 멜로영화는 점차 자취를 감추기 시작했다.

 영화진흥위원회에 따르면 2012∼2016 한국영화 흥행 장르를 보면 멜로 및 로맨스 영화는 6위에 머물렀다. 흥행이 안 되다 보니 멜로영화가 제작 자체가 안 되고, 극장에서 설 자리도 없어진 것이다.

 영화홍보사 관계자는 "TV에서 다양한 멜로드라마들이 넘치기 때문에 20∼30대 젊은 관객들이 굳이 돈을 내고 보는 영화에서까지 멜로를 찾지는 않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올가을 극장가도 토종 멜로영화 가뭄에 시달리고 있다. 다음 달 3일 개봉을 앞둔 영화 ‘두 번째 스물’ 정도가 대기 중이다.

 그러나 멜로영화 수요는 항상 있는 법이다. 한국영화의 빈자리를 이미 한차례 검증받은 재개봉 외화들이 채우고 있다.

 지난 19일 간판을 내건 영화 ‘노트북’은 재개봉 영화로는 이례적으로 개봉 5일 만에 4만5천 명을 불러모으며 흥행 중이다. ‘노트북’은 사랑스러운 앨리와 그녀에게 첫눈에 반한 노아의 운명적인 사랑을 담은 영화로, 2004년 개봉한 뒤 ‘로맨스 영화의 교과서 같은 영화’라는 찬사를 받고 있다.

 이에 따라 ‘노트북’이 ‘이터널 선샤인’에 이어 재개봉 멜로영화의 흥행 역사를 다시 쓸지 주목된다. ‘이터널 선샤인’은 지난해 11월 재개봉해 개봉 당시 관객의 두 배가량인 32만 명을 동원해 재개봉 영화 열풍의 정점을 찍었다.

 다음 달 10일에는 탕웨이와 양조위가 주연한 영화 ‘색계’도 극장에 내걸려 한국 관객을 다시 찾아간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