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기홍 갯벌문학회장.jpg
▲ 한기홍 갯벌문학회장
요즘 가끔씩 보도되는 젊은이들의 자살 소식에 우울하다. 무엇이 그들을 소중한 삶의 의욕마저 꺾게 만들었을까. 백수시대의 절망감과 자의식 붕괴현상을 사회학자들이 설파하지만, 저간의 사정과 이유를 떠나서 청춘의 삶 포기는 해서는 안 될 행위다. 이 안타까운 뉴스들을 접하면서 의기소침한 젊은이들에게 한 가지 조언을 해볼까 한다.

 그것은 진부할지언정 독서의 권유다.

 마침 독서의 계절인 가을이 깊어 간다. 예로부터 등화가친(燈火可親)의 계절이라 불려온 가을은 선선한 기온과 곱게 물드는 단풍의 정취가 기쁨을 준다. 한바탕 소슬한 바람이라도 가슴을 휩쓸고 가면, 왠지 긴 코트 깃이라도 올리고 걷다가 벤치에 앉아서 어느 무명시인의 시집을 펼치고도 싶어진다. 독서는 한 인간의 행로(行路)를 완전히 바꿔놓기도 한다.

 이십여 년 전 가을, 당시 필자는 무기력증과 자학심리 등 자괴감에 빠져 극도로 피폐한 나날을 보내고 있었다. 불안한 시간들과 우울한 태도는 결국 사고를 당하게 만들었다. 불의의 추락사고로 왼팔을 크게 다쳐 병원에 입원하게 됐다. 심신이 초췌해 불면증에도 시달리던 나에게 한 친구가 강력한 ‘수면제’라며 책 한 권을 선물했다.

 책자는 니체(Nietzsche, Friedrich Wilhelm.1844~1900)의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이다. 20세기 천재 사상가의 난해한 글이니 만큼 첫 장부터 친구의 의도대로 수면제 역할이 되어 줄 듯했다. 그러나 이곳저곳을 뒤적이던 나에게 니체는 안면(安眠)을 제공하지 않았다. 감히 범접할 수 없는 높은 사유와, 진리와 상통하는 거인의 사상이 나를 한층 성숙된 불면으로 이끌었다.

 획일적이고 종속적인 세계관을 탈피해 자아 스스로가 신의 영역으로 들어가는 초인(超人)의 아포리즘(삶의 교훈 등을 간결하게 표현한 글)에 병실의 침상은 종전의 무료함과 아둔함이 깔끔히 평정됐다. "신은 죽었다" 라고 거대한 사자후를 토해낸 세계 지성의 거목. 프리드리히 니체는 그렇게 한반도 인천의 어느 작은 병원의 병실에도 어김없이 찾아왔다. 니체는 그의 역저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초인(超人)’을 이야기했다. 니체가 말하는 초인은 전지전능한 그야말로 초범입성(超凡入聖)한 인간이 아니다. 현실의 벽을 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면서, 자신의 의지를 미래지향적인 과녁에 쏘아대는 불굴의 향상심(向上心)을 가진 사람을 말한다. 이런 의지의 인물들은 확실하게 정해놓은 임무(Mission), 불타는 열정(Passion)에 덧붙여 끊임없이 자신을 북돋우는 긴장(High tention)을 자기최면처럼 걸고서 앞으로 나아간다. 니체의 말을 인용해보자.

 "누구든지 자신의 미래를 향한 꿈들을 계발하며 적극적인 인생을 살아야 한다. 오늘의 성취에 연연하지 말고, 또한 작은 난관에 봉착할 때마다 이의 영향을 걱정하며 미래를 향한 발걸음을 주춤거려서는 안 되는 것이다.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늦가을 내내 병실에서 니체에 푹 빠져있던 필자는, 이듬해부터는 심신이 완전히 환골탈태한 모습으로 일상을 영위하게 되어 활기찬 생활을 이어갈 수 있었다. 무슨 기사회생의 치료나 처방을 받은 것은 아니다. 니체의 아포리즘에 용기를 찾고, 매사에 임하면서 ‘초인’사상의 자신감으로 처리해 나아갔기 때문이다.

 꿈을 꾸는 젊은이들이여! 마침 독서의 계절이 왔다. 현재의 암울한 환경과 처지에 절대 절망하지 말자. 인류사의 고민들을 풀어놓은 선각자들의 저술이 주변 서점·도서관에 얼마든지 비치돼 있다. 거대한 사상이나 철학세계에 몰입하라는 당부는 않는다. 설사 삼류소설일지라도 깊어가는 가을의 문향(文香)으로 기꺼이 독파한다면, 현재의 절망은 미래의 희망을 위한 거름이었음을 확인할 것이다. 독서는 선각자들이 우리를 위해 저축해놓은 황금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