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라국제도시550.jpg
▲ 청라국제도시 전경
농업단지 조성이 목적이었던 농림부 산하 한국농어촌공사(옛 농어촌진흥공사)의 김포매립지 활용은 굴절의 연속이었다.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지 실현 방안에 꺾이고, 청라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에 또다시 뒤틀렸던 것이다.

땅 주인들이 한국농어촌공사에서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으로 바뀌면서 첨단농업을 축으로 한 스포츠·레저·관광단지 조성계획은 오간 데 없었다. 대신 되지도 않는 투자유치용지와 국제업무(금융)단지 등이 비집고 들어왔다. 금방 돈이 되는 주택건설용지를 먼저 개발하기 위한 꼼수였다. <관련 기사 17면>
정부는 2002년 4월 4일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지 실현 방안’을 내놓았다. 개발의 주제는 ‘자연과 레저가 함께하는 국제금융도시 김포매립지’였다. 김포매립지(1천623.3㏊)와 인근 청라매립지(100㏊), 사유지(83.3㏊) 등 전체 1천806.7㏊에 대한 그림이다. 2017년 완성을 목표로 용지비와 시설이전비(1조1천618억 원), 조성비(8천915억 원) 등 모두 2조5천227억 원(2004년 기준)을 주거·업무·레저·첨단농업 기능을 갖춘 복합도시로 개발한다는 계획이었다.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지 실현 방안’은 종전 김포매립지의 토지이용계획과 도입 시설을 확 바꿔 놓았다. 전체 면적(1천623.4㏊) 중 51.6%(838.3㏊)였던 농업단지는 화훼단지(190㏊)로 변경되면서 면적이 22.7%로 크게 줄었다. 대신 오피스 빌딩(43.3㏊)과 외국인 주거(33.3㏊), 외국인 학교(6.7㏊) 등 국제업무용지(110㏊)를 늘렸다.

김포매립지는 청라국제도시로 이름을 바꾸면서 또다시 격랑에 휩싸인다. 농업단지를 아예 들어낸 것이다. 청라국제도시(1천792㏊)의 개발 콘셉트가 금융·레저·업무 중심의 복합도시로 잡히면서 농업(화훼)단지는 지워지기 시작했다. 3조7천억 원의 사업비는 6조1천억 원으로 급증했고, 투자유치와 주택건설용지 중심의 토지이용계획이 짜여졌다. 투자유치(26.3%)와 주택 건설(13.6%), 산업시설(10.5%), 상업·업무시설(5.4%), 공공시설(44.1%) 등이 그것이다. 청라국제도시 안 화훼단지는 140.3㏊로 줄더니 그나마 지금은 41.9㏊밖에 남지 않았다.

박정환 기자 hi21@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