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제조업600.jpg
▲ 경기침체로 인천의 전통산업인 제조업에도 적색 신호가 들어오고 있다. 9일 인천 남동공단에서 근로자들이 퇴근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기호일보DB
생산·투자·소비 등 ‘트리플 악재’에 갇혔다. 인천 경제 현실을 요약한 말이다. 여기에 최순실 국정 농단에 따른 ‘정치 리스크’까지 경제가 암흑이다. IMF 외환위기보다 더 심각한 상황이 곧 닥칠 것이란 불안감이 시중에 팽배하다. 1일 열린 한국은행 인천본부의 기자간담회에서도 이런 분위기가 감지됐다. 은호성 한은 인천본부장은 이날 의미심장한 말을 던졌다.

그는 "인천 경제성장률이 1997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줄곧 ‘우하향’ 패턴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인천의 낮은 경제성장률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전한 것이다.

제조업이 축소되고 생계형 서비스업이 확산되면서 인천 경제가 취약한 구조로 빠져들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1인당 지역총생산과 부가가치율 등 주요 지표가 전국 평균을 밑돌고 있다는 것이다.

인천 경제성장률은 1997년 외환위기 이전 10년 동안에는 9.6∼12.3%를 기록해 전국 평균(8.4∼10.4%)을 크게 앞섰다. 하지만 2000년까지는 1.7%로 급락했고, 전국(5.3%)과의 격차가 3.6%p나 벌어졌다. 2001∼2010년에는 4.75%, 이후 2014년까지는 2.1%(전국 3.0%) 성장하는 데 그쳤다. 여기에 인천의 소비자심리지수(CCSI) 역시 두 달 연속 떨어져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같은 95.2를 기록하고 있다. 트리플 악재에 갇혀 인천의 경제성장률이 갈수록 탄력을 잃어가고 있다는 의미다.

은 본부장은 특히 생활·유통 등 생계형 서비스업 확산으로 고용의 질을 떨어뜨리고, 중간 투입률은 높여 지역 부가가치율(33.2%·수도권 42.4%)을 하락시키고 있다고 했다. 여기에 신성장산업은 아직까지 선언적 수준에 불과하고, 중국 등 신흥국 제조업의 자생력 강화와 경쟁 심화로 지역 제조업의 경쟁력은 날로 악화되고 있어 지역 산업구조의 고도화 및 기술력, 시스템, 인력 등 전방위적 혁신을 통한 경쟁력 회복이 시급하다고 진단했다.

김종국 기자 kjk@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트리플 악재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