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세월호 참사 이후 현장체험학습(수학여행) 시 안전요원 배치를 의무화했으나 교원들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는 안전요원 직무 연수가 형식적인 교육에만 그치고 있어 대형 사고나 재난 상황에 대처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안전관리·재난 대응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이 없는 교원도 불과 몇 시간의 교육이수로 안전요원 자격이 가능해 학생들의 안전을 위한 것이 아니라 단지 교육부 지침에 부합시키기 위한 면피용 연수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안전요원 직무연수는 인솔교원의 응급처치와 응급 구조 능력을 배양하고, 수학여행 때 예상되는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위기관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하지만 실제 안전요원 자격을 얻으려면 16시간 정도의 교육을 받으면 되는데, 짧은 교육 시간으로 인한 전문성 부족이라는 제도적 맹점이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다. 단시간에 습득한 지식은 시간이 지나면 제대로 기억나기 쉽지 않아 실제 재난 상황이나 환자가 발생한다면 배운 교육을 제대로 써먹을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따라서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려면 교육의 내실화와 반복적으로 훈련시키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안전하고 교육적인 수학여행을 추진하기 위해 교육부가 안전요원 배치를 의무화하고, 이들에게 학생 인솔, 야간생활 지도, 학생안전 지도 등을 지원하라고 했지만 이 같은 역할은 인솔교사들이 충분히 할 수 있는 역할이다. 안전요원 하면 얼핏 듣기엔 그럴싸하게 들리지만 자격증을 갖고 있다 하더라도 제대로 된 직업이 안되고, 혹 안전사고라도 난다면 모든 책임을 안전요원에게 물을 텐데 교원이 아니면 누구라도 이런 일을 하려 들지 않을 것이다.

안전요원을 배치한다고 해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는데, 굳이 자격증을 갖춘 요원 배치 의무화는 책임 회피성 탁상정책에 불과할 뿐이다. 안전요원 배치 의무화보다는 안전교육 강화를 통한 학생·교사의 의식 개선이 먼저다. 특히 학생들이 이용할 숙박시설, 운송수단에 대한 주기적인 안전점검 등 보다 근본적인 대책 마련도 서둘러야 한다. 안전하고 행복한 교육 활동이 이뤄지는데 교원들의 안전교육 연수는 당연한 일이나 응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실질적인 연수가 진행돼야 할 것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