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내항 재개발을 너무 끌었다. 2001년 인천시 연수구 라마다송도호텔에서 3일 동안이나 열린 시민대토론회에서 이미 협의한 의제였다. 북항을 비롯해 남항과 신항 등 새로 생기는 항만으로 물동량을 빼고, 기능재배치를 통해 내항을 친수·레저항만으로 키우자는 중론에 합의했다. 하지만 그때뿐이었다. 16년이 지나서도 그때의 논의를 지금도 하고 있다. <관련 기사 3면>


내항 재개발을 두고 중앙정부와 인천시의 불통, 항만업·단체와 주민들의 반목 등이 작동한 탓이었다. 내항을 손아귀에 꼭 쥐고 있으려는 세력과 개방과 용도 전환을 요구하는 시민단체 간 충돌이었다. 통섭은 없었다. 그 결과 내항의 물동량은 줄고 가동률은 떨어졌다. 2011년 3천152만4천721t에 달했던 내항의 처리 물량은 2016년 2천463만4천241t(잠정치)으로 21.5%나 줄었다. 처리율은 69.4%에서 54%로 급락했다. 선석과 하역장비가 절반가량 놀고 있는 셈이다. 가동률 40%대면 그 항만시설은 폐쇄해야 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다. 그 여파는 외항에도 몰아치고 있다. 개장 이후 2013년 863만7천917t을 처리했던 북항의 물동량이 점점 줄고 있다. 2016년 북항의 물동량은 7.7% 떨어진 795만6천452t이었다. 아직도 1·8부두를 중심으로 한 내항 재개발은 뒷전으로 밀려나 있다.

지난달 27일 해양수산부가 발표한 ‘인천항 종합발전계획 2030’이 그렇다. 이 계획의 핵심에는 한상드림아일랜드가 추진하는 영종도 준설토 투기장(331만5천㎡)과 아직 민간사업자가 선정되지 않은 남항의 골든하버 조성사업이 있다. 영종도 준설토 투기장에서 벌어들이는 수익금으로 내항 재개발사업을 한다는 고릿적 논의가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내항 1·8부두 재개발을 단기사업(2020년 이전)으로, 2·6부두는 부두운영사(TOC) 통합과 맞물려 중기사업(2021~2030년)으로 늦췄다. 3~5부두는 2030년 이후인 장기사업으로 미뤄 놓았다. 국제여객부두와 터미널 건설사업인 남항 골든하버 조성(추정사업비 986억 원)도 중기사업이다.

인천항만공사는 22만t급 대형 크루즈 부두 2선석(15만t급 1개 선석 포함)과 전용터미널, 한중 카페리 7개 선석과 터미널을 2019년까지 지을 계획이다. 이럴 경우 카페리가 담당했던 대중국 물동량은 인천내항에서 빠져나가기 마련이다. 내항 가동률의 추가 하락이 예견되는 대목이다. 10여 년의 ‘실기(失期)’로 인천항 전체가 흔들리고 있다.

박정환 기자 hi21@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내항 재개발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