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은 올해부터 기존의 항만 물류기능이 전면 재편되는 시발점이 된다. 인천항이 수도권 최대의 무역항에서 고부가가치 해양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하면서 국제도시에 걸맞은 해양관광 거점항으로 전환되는 첫 단계에 이른 것이다.

 정부가 발표한 계획대로라면 향후 인천항은 물동량 2억t, 컨테이너 400만TEU, 해양관광객 180만 명, 4조 원의 부가가치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하지만, 민자유치 위주로 추진하려는 정부의 방침이 바뀌어야 한다. 신항 배후부지 조성과 아암물류단지, 내항재개발 등은 국비보조 없이는 어렵다는게 현실이다. 특히, 아암물류2단지는 신항 개장과 함께 인천항 수출입 화물 증가 및 한중 간 교역량 증대에 따라 부족해진 항만배후부지를 확충하고자 조성하는 항만 물류단지다.

 그러나 최근 정부가 실시한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비용대비 편익비율이 0.2 안팎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국비지원을 받지 못할 상황에 처해졌다. 이 땅에 전자상거래 클러스터를 조성할 계획을 갖고 있고, 인천지역 중소 물류기업은 공동물류센터를 건립하려 했지만 모두 불투명해졌다. 이번 조사는 그동안 정부 계획과 대조적이어서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이뿐만이 아니다. 인천신항 배후단지도 해양수산부가 지난해 민간개발 방식을 도입했으나 사업자가 나오지 않아, 개발하기 위한 방안을 찾고 있지만 반년이 지나도록 결과가 나오지 않고 있다. 당장 올해에는 신항의 컨테이너터미널이 완전히 개장된다. 최대 1만2천TEU급 선박까지 접안이 가능해졌다. 이곳에서만 연간 컨테이너 물량 210만TEU를 처리할 수 있다. 하지만 인근 배후부지 조성이 이뤄지지 않으면 한중 FTA 등의 효과가 반감될 수밖에 없다. 항만배후단지가 조성되면 대형 물류·제조 기업을 유치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된다. 항만의 경쟁력을 좌지우지(左之右之)하는 핵심인 것이다. 입주 기업으로 인해 물동량 증가와 일자리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글로벌 항만의 경우 모두 인근에 배후단지가 조성돼 있는 만큼, 인천항의 배후단지 공급이 미뤄지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인천항의 미래 성장 동력은 정부 차원에서 새롭게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