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환사회부장(컬).jpg
▲ 박정환 사회부장

지난해 인천을 시끄럽게 한 뉴스가 있었다. 중구 북성동 월미도 지구단위계획이었다. 골자는 건물 높이 제한을 현재 7~8층에서 16~17층으로 올리는 것이었다.

 월미도 고도제한 기준 완화는 특혜논란으로 번졌다. 유정복 시장의 형과 김홍섭 중구청장의 땅 때문이었다. 유 시장 형과 김 청장 일가는 월미도에 각각 4천369.7㎡와 4천598.2㎡를 소유하고 있다. 고도제한이 풀리면 땅값이 오를 테고, 땅 주인들은 아주 손쉽게 재산을 부풀릴 수 있다는 지적이었다.

 결국 인천시는 지난 연말 월미도 고도제한 완화를 보류했다. 특혜논란을 차단하기 위해서였다.

 똑같은 특혜논란이 엉뚱한 곳에서 터지고 있다. 월미 해양복합전시체험관(해양박물관)과 해양복합문화단지 조성사업이다.

 인천시는 갑문지구(2만462㎡)에 국비 지원을 통해 해양박물관(추정사업비 371억 원)과 민자사업으로 복합문화단지(추정사업비 836억 원)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이 갑문지구는 인천시가 땅을 사들여 해양과학관을 짓기 위해 인천항만공사가 140억 원을 들여 매립한 곳이다.

 인천항만공사는 땅을 매입하지 않자 인천시를 상대로 180억 원대의 소송을 벌이고 있다. 유 시장의 형과 김 청장 일가의 땅 코앞이다.

 특혜논란의 중심에는 개항창조도시 재생사업이 있다. 인천시는 개항창조도시 재생사업으로 2015년 말 국토교통부의 도시경제기반형 재생사업 공모 대상지로 선정됐다. 시는 2012년까지 250억 원의 국비를 지원 받는다.

 인천시의 개항창조도시 재생사업은 송영길 인천시장 당시인 2014년 3월에 출발했다. 하지만 부산과 청주에 밀려 국토부의 공모에서 탈락했다. 인천시는 유정복 시장 시절인 2015년 4월 사업비를 4천358억 원에서 5천988억 원으로 늘려 국토부의 공모에 다시 신청했다.

 몰론 사업 대상지도 넓혔다. 그곳이 월미도였다. 이곳에 해양박물관과 복합문화단지를 포함해 케이블카인 월미 스카이웨이 조성(민간 213억 원)과 월미도~개항장~동인천역 셔틀버스(지자체 27억8천만 원), 문화예술촌 조성(정부 협업 7억5천만 원) 등 새 사업들을 끼워 넣었다. 정치권이 또 다른 특혜성 사업으로 보는 이유다.

 특혜의혹 배경에는 ‘해양박물관과 복합문화단지로 갑문지구가 과연 적절한가’하는 의구심이다.

 갑문지구를 대상으로 인천시는 2006년 5월 ‘인천해양과학관 건립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용역’을, 인천관광공사는 2008년 2월 ‘인천해양과학관·홍보관 건립 계획 및 타당성 검토’를 벌였다. 사업성 미흡으로 국비 확보와 민자유치 불투명 등으로 사업 추진이 중단됐다.

 2013년 3월에는 해양과학관 대신 인천상륙작전평화공원 조성사업을 추진했으나 국가보훈처가 송도의 인천상륙작전기념관과의 중복성을 따지며 지원을 거부했다. 이 사업 역시 좌절됐다.

 갑문지구의 가장 큰 단점은 해양박물관과 복합문화단지가 들어서기에는 너무 좁고 동선이 안 나온다는 점이다.

 2010년 인천해양과학관 위치를 놓고 중구지역에서 격론을 벌인 적이 있다.

 당시의 지적은 이랬다. 갑문지구에 해양과학관을 제대로 조성하기 위해선 해사고등학교 터와 월미공원사업소 안 주차장과 운동장까지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었다. 여기에 외통인 왕복 2차로의 비좁은 도로도 복병으로 작동했다.

 갑문지구의 대안으로 재개발을 앞둔 인천내항 1·8부두가 제시되기도 했다. 1·8부두의 면적은 해상 2만9천490㎡를 포함해 28만6천395㎡에 이른다. 경인선과 수인선 등 사통팔달의 교통여건을 지니고 있다. 지난 연말에는 인천시와 인천항만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해양수산부 등 4자가 공공개발하기로 기본협약을 맺은 곳이기도 하다. 내항 1·8부두의 강점은 갑문지구처럼 특혜시비에 휘말릴 여지가 없다는 것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