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조울증 유병률이 과소평가됐다는 연구가 발표됐다.

인하대병원-정신건강의학과.jpg
▲ 인하대병원 김지현 교수
흔히 ‘조울증’이라 불리는 양극성 장애는 기분이 지나치게 들뜨거나 심하게 변하고 활동량, 의욕 등이 지나치게 증가하는 조증과 그 반대 상태인 우울증의 양극이 반복되는 정신장애로, 미국 정신건강의학회의 진단기준인 ‘DSM-5’에 따라 제1형(조증+우울증)과 2형(경조증+우울증)으로 분류한다.

이러한 양극성 장애 유병률은 미국 등 서구권에서 통상 2~3% 정도를 보이는 반면, 국내에서는 0.2~0.3%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서양과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실제 국내 유병률은 4.3% 수준으로 서구권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하대병원 김지현(제1저자)교수와 경북대병원 장성만(교신저자)교수 등 국내 7개 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공동연구팀은 국내 양극성 장애 유병률이 한국에서 낮게 보고돼 온 결과에 주목하고 이를 조사했다.

연구진은 기존의 양극성 장애 진단기준이 한국에서는 지나치게 엄격한 것으로 보고 기분장애설문지(MDQ:Mood Disorder Questionnaire)라는 도구를 이용해 양극성 스펙트럼 장애의 유병률을 측정했다.

‘양극성 스펙트럼 장애’는 기존 제1형 및 2형 양극성 장애뿐 아니라 가벼운 수준의 양극성 기분조절 장애를 모두 포함한다.

연구는 2011년 전국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의 일환으로 시행됐으며 모두 3천13명이 포함됐다.

그 결과 양극성 스펙트럼 장애로 진단 가능한 사람이 한국 전체 인구의 4.3%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양극성 스펙트럼 장애에 해당하는 사람 중 78.3%는 기존의 진단기준을 따르면 우울장애(35.4%)나 불안장애(35.1%), 알코올 및 니코틴 등의 물질사용장애(51.9%)로 진단됐다.

김지현 교수는 "진단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가벼운 양극성 기분장애라 할지라도 예후와 기능 저하, 자살 등의 위험성은 제1형이나 2형에 못지않게 심각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진단에서 배제돼 앞으로 증상이 심해지거나 다른 정신장애로 진단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는 현재의 임상 현장 및 국가 정신보건정책에서 양극성 스펙트럼 장애 문제가 과소평가됐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정동장애학회(ISAD) 공식 학회지 정동장애학술지(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16년 10월호에 게재됐다.

최유탁 기자 cyt@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