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순목 전 여의도연구원 정책자문위원.jpg
▲ 홍순목 새누리당 인천시당 부위원장
오는 24일에 검단신도시 즉 새빛도시가 착공식과 함께 본격적으로 개발된다. 개발 계획이 발표된 지 11년 만의 일이다. 그동안 우여곡절은 이루 말할 수가 없다. 2006년 검단신도시 개발 계획이 발표된 그 이듬해 선진국발 금융위기로 인해 사업추진에 먹구름이 끼기 시작했다. 이후 주택경기 하락과 자금조달 어려움 등으로 토지 및 지상권 보상 등에도 애로가 많았다. 인천시는 여러 차례 착공계획을 세우는 등 착공 의지를 내비쳤지만 사업파트너인 LH를 설득하지 못했고 실제로 착공식을 갖지 못했다.

 유정복 시장이 임기 초반에 중동의 오일머니를 유치해 검단스마트시티를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추진한 것은 인천시의 재정문제와 LH의 비협조 등 두 가지 난제를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비책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 계획은 인천 서구지역 주민들뿐만 아니라 인근지역에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 이유는 첫째 외국인 자본에 의한 건설이니 만큼 원활한 자금 공급을 통한 신속한 개발 추진이 예상됐기 때문이다. 두 번째 기업도시를 건설함으로써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있었다. 베드타운이 아닌 주거와 일자리가 함께 들어서는 자족도시를 꿈꾼 것이다. 셋째는 추진 내용이 말 그대로 스마트한 첨단도시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검단스마트시티 건설 계획은 결국 무산됐다. 그리고 인천시는 검단 새빛도시 개발 계획을 다시 추진하고 있다. 검단 새빛도시 추진으로 이 지역이 베드타운으로 전락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지만 인천시 서구 북부권 주민들은 이제 다른 생각은 없는 듯하다. 신속하게 사업이 추진되기를 바라는 마음뿐이다. 주민들은 계획도시도 아니고 그렇다고 난개발도 아닌 기존의 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의 한계를 느낀 지 오래다. 신도시 개발을 통해서만이 기존의 산재된 주거지역과 분열된 민심을 통합해 하나의 도시로 완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마저도 순조롭지 않아 보인다. 과거에 발목이 잡혀 추진동력이 떨어질까 걱정이다.

 검단스마트시티 추진과 관련한 행정조사특위 구성을 둘러싼 논란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를 추진하는 쪽의 입장에서는 잘못된 부분에 대해 책임을 묻겠다는 것이지만 일반인들은 그렇게 보지 않는다. 주민들은 오히려 다가오는 대선과 다음 지방선거를 앞두고 상대당 흠집 내기 내지는 기 싸움 정도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그 이유는 그들이 정작 할 일을 하지 않고 오로지 자신이 하고 싶은 일 보고 싶은 것만 보기 때문이다. 검단스마트시티 사업 계획을 경험한 주민들의 눈높이는 높아져 있다. 과거 검단 1, 2신도시를 함께 개발하는 계획하에 받아 놓았던 광역교통 개선대책의 규모에 비하면 2신도시가 제외된 계획에 따라 최근 국토부의 승인을 받은 광역교통 개선대책은 실망스럽기 짝이 없다. 이번 최종 승인된 광역교통 개선대책을 보면 취소된 2신도시와 관계 없이 최초안에서 제외된 것이 있다. 수도권매립지도로의 대체도로 건설, 인천도시철도 2호선 지선 건설, 공항고속도로 검단나들목 설치 등은 그 필요성이 충분하며 주민의 한 사람으로서 제외된 사실을 수긍하기 어렵다.

 그렇다면 인천시가 국토부에 제출할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주민의 대의기관인 인천시의회는 공청회를 열도록 하는 등 주민여론을 수렴했어야 한다. 지금은 폐기됐지만 스마트시티가 갖고 있었던 중요한 내용들 즉 신속한 개발, 일자리가 있는 자족도시 건설, 첨단도시 건설 등을 검단 새빛도시 개발계획에 담아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그 무엇보다도 이를 위해 인천시와 시의회가 머리를 맞대고 논의하는 것을 상상하는 것은 과연 힘든 일인가? 신도시 개발계획의 수립, 2신도시 제외, 2신도시 재포함, 2신도시 취소, 새빛도시 추진 및 보류, 스마트시티 추진 및 취소, 새빛도시 재추진 등의 과정을 겪어 온 검단신도시 개발이다. 사업 추진 변경에 따라서 천당과 지옥을 오갔을 주민들을 생각해야 한다. 유정복 시장을 도우라는 것이 아니다. 주민들을 구하라는 것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