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옹진군 굴업·선갑도 지적의 바닷모래 채취를 중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다시 짙어지고 있다. 그동안 제기됐던 바닷모래(골재) 채취로 엉망진창이 된 해양생태계와 수산자원을 원상 복구시켜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일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는 해양환경훼손 대신 받은 모래 값이 덕적·자월면 주민 간의 분란도 한몫 차지했다.

한경남 인하대교수(해양과학과)는 바닷모래(골재)채취로 인한 피해가 장기적으로 인접 주민들의 생계까지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내비쳤다.

한 교수는 지난 2000년부터 골재채취 심의위원으로 활동했다. 그는 주민들에게 지급되는 ‘주민발전기금(모래 값)’ 대신 골재채취로 파인 지적에 해양생태계 원상회복을 위한 방안사업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을 한다.

그는 "바닷모래 등을 채취하는 해저 바닥면은 저서생태(군집생태)계 내 중간먹이사슬 역할을 하고 있다"며 "채취로 인해 상위 단계인 어류부터 중간단계인 패류 등 수산자원 먹이사슬을 파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 교수의 골재채취 연구보고서 등에 따르면 매년 계절(철)마다 회유하는 저서어류·패류 등의 산란장이 채취로 인해 파괴·변질됐고, 일부가 회복되는 기간만 짧게는 5년에서 길게는 10년이 걸린다고 기록됐다.

또 모래채취 지역 인근 해안가의 침식현상으로 모래가 섬에서 유실된다는 결과도 나왔다. 실제 한 교수가 지난 2006∼2007년 자월도 조간대지역 현장연구에서 바닷모래 채취로 인한 해안가의 모래가 40∼50m가량 유실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 교수는 "골재채취 등으로 인한 해안의 지형변화, 경관파괴, 어민들의 어업 피해까지 가져 올 수 있다"며 "실제 꽃게 등 저서어류의 산란장 변질 등으로 어구활동의 피해도 발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골재협회 인천지회도 주민 간 분쟁을 일으키는 모래 값에 대한 새로운 방식 검토를 조심스럽게 내비치고 있다. 지금과 같은 지급 방식과 사용처에서는 주민 갈등을 되풀이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입장이다.

더군다나 인천지회는 내년 바닷모래 채취해역을 현재 덕적·굴업 지적에서 인근 선갑 지적으로 옮겨야 할 처지다.

인천지회 측은 바닷모래 채취 허가권을 갖고 있는 옹진군이 모래 값을 관리하고, 협의체나 법인을 만들어 사용처에 대한 체계적 기준으로 운영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골재협회 측은 "주민대표, 옹진군, 해사채취업체, NGO(공공의 이익을 위해 활동하는시민단체) 등으로 구성된 협의체를 만들어 골재채취 해역 선정부터 주민공동·복지사업, 용처까지 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골재협회는 끊이지 않는 분쟁과 관리가 이뤄진다면 EEZ(배타적경제수역·한국수자원공사)로 채취 해역을 옮기는 방안도 모색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승훈 기자 hun@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