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청600.jpg
▲ 사진=경기도청 전경
서울대학교에 위탁운영 중인 수원 광교테크노밸리 내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이하 융기원)이 경기도내 산업과학 발전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경기도는 10년 전 서울대와 협약을 체결하고 연구부지는 물론 수십억 원에 달하는 예산 지원을 하고 있으나 상용화 성공 기술이 단 한 건에 불과해 도내 기업에게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21일 도에 따르면 2007년 서울대와 맺은 운영 협약에 따라 수원 광교테크노밸리 내 융기원 운영을 서울대에 위탁하고 있다.

서울대가 도내 융합과학기술 발전에 견인차 역할을 맡고, 도는 부지 무상 제공은 물론 지난 10여 년간 수십억 원의 예산을 운영비로 편성해 지급했다. 2013년과 2014년 30억 원이 지원됐고, 2015년에는 10억 원, 지난해에는 13억5천만 원이 지원됐다.

이처럼 도비 수십억 원이 융기원 운영에 투입됐지만 융기원이 기술을 개발해 도내 기업에게 이전된 사례는 10건에 불과하다. 그나마 도내 기업이 제품 상용화에 성공한 케이스는 ‘조류인플루엔자 진단 Kit 및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기술 단 한 가지뿐이다. 나머지 9개 기술은 시제품을 개발하거나 상용화 기술을 개발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기술이전 건의 내용적 측면에서도 10건 가운데 7건이 바이오 관련 기술에 치우쳤다.

도가 산하기관으로 경기바이오센터를 운영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별도 연구가 아닌 자체 기관을 통해 추진해야 하는 사업들이 외부 기관을 통해 이뤄지고 있는 모양새다.

융기원 안팎에서는 융합과학기술 지원이 저조한 원인으로 융기원 운영에 관한 대부분의 사무를 서울대에서 결정하는 시스템을 꼽고 있다. 서울대 중심으로 융기원이 운영되면서 도가 융기원의 연구과제를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이 없어 수십억 원의 예산을 지원하면서도 도내 중소기업에 실제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과제 선정이 어렵다는 지적이다.

이 같은 융기원 운영의 실효성 논란은 실제 경기도의회를 중심으로 문제가 제기되면서 지원 예산도 대폭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올해 예산은 지난해 예산 13억5천만 원의 절반도 안 되는 6억2천500만 원이 편성돼 예년에 비해 5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융기원 운영의 근본적인 문제 지적’과 ‘도내 기업들의 실익 저조’에도 불구하고 도는 5월 서울대와의 계약이 만료되면 서울대와 ‘공동법인화’를 통해 융기원에 대한 지원을 유지해 간다는 입장이다.

엄진섭 도 과학기술과장은 "융기원에서 개발된 기술이 ‘원천기술’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기술이전을 통해 상용화된 사례가 한 건 이뤄진 것만으로도 대단한 성과를 거둔 것"이라며 "적은 비용을 들여 서울대의 유능한 연구진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도 입장에서는 손해 보는 일이 아니다"라고 전했다.

정진욱 기자 panic82@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융기원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