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 장기화로 취업난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지만 정작 중소기업 구인난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최근 인천지역 남동인더스파크 등의 기업들에 따르면 제조업 환경이 갈수록 어려운 상황에서 일할 만한 인력마저 구하지 못해 이중고를 겪고 있다고 한다. 대기업으로는 구직희망자가 수백 대 1의 경쟁률을 보이며 몰리는 반면 중소기업 생산직업종에는 내국인의 인력수급이 끊겨 외국인 근로자로 채워나가고 있는 실정이다. 청년 등 취업준비생들은 취업난에 허덕이지만, 중소기업은 인력이 없는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구직난 속 구인난’ 현상이 가속화하고 있는 이유는 중소업체에 입사했지만 미래에 대한 불안감과 취업 이후 근무여건 등에 불만을 갖고 퇴직해 새 일자리를 구하는 젊은 층이 늘면서 대기업 취업 경쟁은 갈수록 치열해지고, 중소업체들의 구인난이 가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중소기업의 인력 부족 현상은 구직자들이 눈높이를 낮추던지 업체들이 근무 여건을 개선하지 않은 이상 이 같은 악순환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중소업체 생산직 구인난은 고학력자만 우대하는 사회 풍토 속에 3D업종 기피가 보편화되고 왜곡된 교육정책으로 고학력자 인플레이션현상이 두드러지면서 갈수록 심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인천 지역이 취업난과 동시에 구인난을 겪고 있는 것은 정부나 인천시의 일자리 정책이 지역 제조업 실정과 동떨어진 탓이다. 현재 정책은 제조업 분야를 배우는 인재 자체가 줄고 있는 상황에서 3D업종 기피, 상대적으로 낮은 급여, 구인·구직자 불일치, 현실적인 취업대책 부재 등에 기인한다. 따라서 인력 수급을 위한 지속성 있는 정책 개발과 함께 현재 제조업이 처한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임금격차와 복지수준 등을 감안할 때 무조건 청년들의 눈높이를 낮추라고만 할 수는 없는 일이다. 중소기업 스스로가 이른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좋은 고용환경과 작업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아울러 지자체가 청년기본수당 같은 데 재원을 사용하기보다 제조업 취업지원자에게 돌아가게 하면 청년들이 생산직에 눈을 돌릴 것이고, 자연스레 실업률도 떨어질 것이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중소기업 생산직에 혜택을 주는 정책이 마련됐으면 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