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600.jpg
▲ 청년,여성 맞춤 일자리 박람회. /기호일보 DB
청년과 기업은 ‘좋은 일자리’에 대한 인식 차이가 컸다. 청년들은 직업의 안정성과 발전가능성을 원했다. 하지만 기업과 정부 및 지자체의 지원정책은 임금 지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다 보니 미스매치의 간극은 커질 수밖에 없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6 청년 사회·경제 실태조사’를 보면 바로 알 수 있다. 이 조사에서 청년들이 가장 선호하는 일자리는 안정적 회사(31%)다. 적성에 맞는 회사(25.6%), 급여가 높은 회사(18.3%) 순으로 조사됐다. 청년의 68.9%는 조건이 충족된다면 중소기업에 취업할 수 있다는 의향을 밝혔다.

지난 대선을 앞두고 인천청년유니온이 발표한 대선 공약 설문조사도 마찬가지였다. 지역 청년들은 ‘안정적 일자리’를 최우선으로 꼽았다. 이는 지역 중소기업도 지속성과 경쟁력 등에서 비전을 보여 준다면 청년들이 선호하는 직장이 될 수 있다는 의미다.

하지만 청년들 스스로가 중소기업에서 발전 가능성을 찾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인천의 중소기업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데다 대다수 기업의 근로환경이 열악할 것이란 기존 인식 때문이다.

특히 인천 산업구조상 제조업이 많고 대부분 중소·영세기업인 데다 대내외 경제 여건상 경쟁력이 취약한 점 등을 이유로 지역 청년들은 지속가능한 일자리로 보지 않고 있다.

상황이 이런데도 지역 기업과 각 기관의 지원정책은 근로환경 개선은 아랑곳하지 않고 임금만 올리면 된다는 식이다. 경영 여건이 좋은 기업들은 급여를 인상하고, 청년내일채움공제나 청년인턴제를 활용하는 기업들도 늘고 있지만 ‘구인난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처우가 좋다고 인정된 지역 강소기업들 역시 청년이 필요로 하는 발전가능성을 적극적으로 내놓지 못하고 있다.

부평구에서 중소기업을 운영하는 한 기업체 대표는 "요즘 청년들은 돈을 많이 줘도 힘든 일이라면 기피하기에 바쁘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청년들의 중소기업 기피 원인을 모르는 기업들은 임금만 개선한 뒤 하염없이 구직자만 기다리고 있다. 이렇듯 청년과 기업의 생각이 다르다 보니 비교적 좋은 처우를 보고 중소기업에 입사한 청년들은 미래에 대한 불안감과 취업 이후 근무 여건 등에 불만을 품고 퇴직하는 일이 다반사다. 현실적 ‘간극’이 큰 인식이 좁혀지지 않는 한 미스매치로 인한 ‘구직·구인난’은 기약없이 되풀이될 뿐이다.

지역의 일자리지원기관 한 관계자는 "청년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모른 채 근로조건만 내세우다 보니 청년들이 우리 지역에는 좋은 기업이 없다고 생각하게 된다"며 "기업들 역시 청년들이 중소기업에 안 오려 하고, 와도 의지가 없어 금방 나간다고 생각해 구직자와 구인업체 간 항상 오해가 생기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청년 일자리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