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정복 인천시장이 14일 인천대학교 송도캠퍼스 교수회관에서 열린 교육주권 선포식에서 ‘인천형 교육주권’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이진우 기자 ljw@kihoilbo.co.kr
▲ 유정복 인천시장이 14일 인천대학교 송도캠퍼스 교수회관에서 열린 교육주권 선포식에서 ‘인천형 교육주권’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이진우 기자 ljw@kihoilbo.co.kr
산학협력 체계가 구축돼야 ‘인천형 인재 양성’이 가능하다. 인천시가 14일 발표한 ‘인천형 교육주권 추진계획’에 담은 내용이다. 교육기관·기업과 협력해 인재를 육성하는 로드맵이다.

시는 우선 ‘인재육성 산학관 협의체’를 운영할 계획이다. 협의체에는 인천상공회의소, 인천경영자총협의회 등 경제지원기관과 지역 대학, 인천발전연구원·인천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 등이 참여한다.

각 구성원들은 논의를 거쳐 지역특화 인재 육성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대학의 지역 산업 현장 맞춤형 교육과정 개설 등도 제안한다. 이는 그동안 지역 내 교육이 고용으로 연계되지 않은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인천은 교육훈련 인프라 등이 잘 갖춰져 있다. 하지만 대졸자 중 61.8%가 서울과 경기도로 빠져나가는 등 인재 유출이 심하다. 인천은 바이오산업 등을 지역의 미래산업으로 키우고 있다. 그러나 해당 기업들이 요구하는 전문인력은 턱없이 부족하다.

전문가들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산업과 연계할 주력 사업의 범위를 좁히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한다. 지금까지 시가 발표한 8대 전략산업을 중심으로 산학 협력 등이 추진돼 왔지만 노력이 분산돼 성과가 미약했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항공·바이오·뷰티·관광·물류·첨단자동차·로봇·녹색기후금융 등 8대 전략산업 분야에서 산학 협력의 효과를 볼 수 있는 분야를 집중 육성해야 한다는 얘기다.

항공과 바이오 분야가 좋은 예다. 항공은 정부가 송도를 산학융합지구로 선정해 NASA국제연구소를 비롯한 항공산학융합지구 조성사업이 추진되는 등 성과를 내고 있다. 바이오 분야 역시 발전 가능성이 높은 데다 올해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지역 대학에 ‘혁신인력개발센터’가 생기는 등 산학 협력이 활발하다. 시가 이날 밝힌 ‘산학관 협의체’의 역할론이 매우 중요하다는 의미다. 논의 구조만을 위한 협의체가 아니라 교육과 산업의 ‘매개체’가 돼야 한다는 것이다.

시 관계자는 "인천에서 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많이 있는데 취업까지 이어지지 않아 인재가 타 지역으로 유출되는 문제가 있었다"며 "기업과 교육기관에서 요구하는 부분들을 공유하고 그에 맞는 산학 협력 교육을 추진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인재 양성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