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노숙인 600.jpg
▲ 위 사진은 해당 기사와 관련 없음. /기호일보 자료사진
인천 지역 노숙인들을 위한 지원이 사실상 ‘헛심’ 쓰기에 그치고 있다.

인천시나 관련 기관에서 노숙인들을 위한 지원이 이어지고 있으나 노숙인들의 자활의지 부족과 불분명한 주거지 때문에 지원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어서다.

21일 인천시에 따르면 지역 내 노숙인은 500여 명으로 추산된다. 이 중 요양시설이나 자활시설 등에 입소한 노숙인이 350여 명, 거리를 떠도는 노숙인이 150여 명이다.

시는 올해 노숙인 자활을 돕는 프로그램 운영비로 5억5천만 원, 시설 운영비로 18억 원(국비 포함)의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 여기에는 각 시설 급식비와 의료비, 종사자 임금 등도 포함된다.

하지만 이러한 지원을 통한 노숙인들의 재활이나 사회 복귀 비율은 전혀 집계되지 않는다. 구조활동을 통해 입소시키더라도 공동생활이나 규칙적인 생활 등을 참지 못해 프로그램을 모두 이수하기도 전에 다시 나가 버리는 노숙인들이 허다하다.

시나 구 등 관련 기관에서도 주말 및 야간에 거리 상담활동과 구조활동 등을 진행하지만 이를 통해 노숙인들을 시설에 입소시키는 것도 쉽지 않다. 인권 문제로 노숙인들이 원하지 않을 경우 입소를 강제할 수 없다는 이유다.

머무는 곳이 일정하지 않고 주소지도 불분명한 거리 노숙인을 지원하는 것은 더 어렵다. 타 지역에서 전철 등을 타고 넘어온 노숙인들을 무작정 시 차원에서 지원하는 것도 마땅치 않다. 반대로 인천시민임에도 무료 급식을 위해 서울역과 영등포역 등에 머무는 노숙인들도 많다. 이 때문에 인천 지역의 거리 노숙인이 150여 명인지도 정확하지 않다.

결국 시 차원에서는 노숙인들이 아닌 시설에 예산을 지급하거나 프로그램 운영을 돕는 수준의 지원이 이뤄지는 실정이다. 또 주취자나 장기 노숙으로 건강이 악화된 사람들에 대한 신고가 들어올 경우 일시 보호 및 상담을 제공하는 정도다.

시 역시 노숙인 관련 시설이나 프로그램 운영 등은 지원이 가능하지만 이들이 사회에 복귀하도록 직접 돕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설명이다.

시 관계자는 "거리 노숙인의 경우 담당 지자체 구분이 어려운 만큼 각 지자체가 아닌 국가에서 지원하는 게 더 효과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김희연 기자 khy@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노숙인 지원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