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62101010007684.jpg
▲ 지난 1937년부터 상공인들의 삶을 싣고 달렸던 수인선 협궤열차의 유일한 흔적인 송도역사가 1995년 폐선 이후 민간에 임대되어 사무실로 사용 중 이거나 방치되어 있다. 사진은 인천시 연수구 옥련동의 옛 송도역사 건물/이진우 기자 ljw@kihoilb.co.kr
‘옛 송도역사(松島驛舍)’<본보 6월 20일자 1면 보도>의 인천시 지방문화재 지정이 개발논리에 밀려 무산된 것으로 확인됐다. 민선6기 시정부가 목 놓아 외쳤던 인천 가치재창조의 ‘허상(虛像)’을 단적으로 보여 주는 대목이다.

21일 시에 따르면 인천시 문화재위원회가 2014년 말께 열린 회의에서 옛 송도역사를 시 지방문화재로 지정해 보존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송도역사가 수인선 협궤열차의 흔적이 유일하게 남아 있는 건축물이라는 이유에서다. 1995년 열차 운행이 중단된 이후 지금은 민간에서 사무실로 사용 중이지만 거의 방치된 상태다.

당시 문화재위원들과 문화예술 및 건축전문가들은 수인선 송도역사를 보존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

문화재위원이었던 손장원 재능대 교수는 "1977년까지 증기기관차가 운행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송도역 구내에는 급수탑이 방치된 채 남아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또한 가설 건물에 가려 보이진 않지만 종착역에서 기차를 반대 방향으로 돌리던 시설도 현존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남한 지역 유일의 협궤열차 역사인 송도역사가 바르게 보존될 수 있는 조치가 필요했다"고 그때를 회상했다.

하지만 문화재위원들의 건의는 지금도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이유는 개발논리다. 송도역사를 시 지방문화재로 지정하면 건물과 그 주변에 각종 규제가 따르기 때문이다. 역사 인근에서 추진 중인 송도역세권 도시개발사업(옛 옥골구역 도시개발사업)에도 차질을 줄 수 있다는 연유에서다.

시 관계자는 "문화재 주변에서 추진하는 건축 및 개발 관련 공사는 문화재위원회의 결정이 강제성을 가질 수 있지만, 특정 건축물을 지방문화재로 지정하자는 의견은 그렇지 못하다"며 "당시에도 이미 추진 중이었던 옥골지구 개발사업에 영향을 줄 수 있어 보류됐던 것으로 안다"고 했다. 이어 "물론 의미 있는 건축물을 문화재로 지정해 보존하는 것도 중요하나, 주변 수백m가 각종 규제로 제약을 받고 또 다른 주민들이 피해를 받는 부분도 생각해 봐야 하지 않겠느냐"고 덧붙였다.

한편, 송도역사는 시 지방문화재 지정 추진 무산 이후 송도역세권 도시개발사업지구 내 도시계획에 의한 도로로 예정돼 있어 내년 말께 개발사업이 이뤄지면 역사 속으로 사라질 수밖에 없다.

이병기 기자 rove0524@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송도역사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