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온실가스.jpg
▲ 유정복 인천시장이 지난해 송도 G타워에서 제8회 기후변화주간을 맞아 열린 '온실가스 감축 원년의 해 선포식'에서 온실가스 줄이기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인천시 제공
인천시가 온실가스 감축에 손 놓고 있다. 지역에서 개발한 감축기술도 중앙정부에서 먼저 알아차렸다.

22일 한국남동발전 등에 따르면 오는 26일 옹진군 영흥화력발전소에서 ‘온실가스 감축 및 탄소자원화 설비’ 준공식을 개최한다. 이 사업은 지역 기업이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과 R&D협약을 맺는 등 산업통상자원부 국책과제로 진행되고 있다.

시설 핵심 기술인 CCU(이산화탄소 포집 및 활용)는 인천 업체가 개발한 이산화탄소 저감 신기술이다. 배출가스 내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화학반응을 통해 고체 형태(탄산칼슘)로 전환하고, 최종적으로는 부산물을 토목 및 건축소재로 활용하는 것까지 목표로 한다. 이 기술은 2013년 환경부로부터 녹색기술인증을 받기도 했다. 영흥화력발전소에 기술을 도입해 연간 1만2천t가량의 이산화탄소 감축 효과뿐 아니라 온실가스 대용량 감축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당초 이 같은 기술은 인천시가 키울 수 있었다. 정부가 협약을 맺기에 앞선 2012년 청라사업소 청라소각장에 같은 시설이 설치됐다. 그러나 두 차례에 걸친 재계약 끝에 파일럿 운영이 종료됐고, 시는 계약에 따라 설비 철거를 요청했다. 정부가 국책사업으로 국비 60억 원을 투자하면서까지 기술 개발을 추진하는 것과는 반대 행보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시가 당장의 운영비 부담으로 장기적으로 필요한 기술을 포기했다는 의견이다.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은 국제에너지기구(IEA)가 2050년 플랜트 3천400개, 연평균 84조 원 규모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측할 만큼 이산화탄소 저감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는다.

온실가스 감축을 통해 수익을 낼 기회도 떠났다. 온실가스 감축은 국내를 넘어 세계적으로 배출거래권 확보 등으로 자원화되고 있다. 일례로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는 매립가스 자원화 청정개발체제(CDM) 사업을 통해 수익을 낸다. 2007년 UNFCCC에 CDM 사업으로 등록한 이후 매년 약 80만CO2t의 탄소배출권을 발급받고 있다. 지난해에만 280억 원을 확보했으며, 올해 들어서도 130억 원을 추가 확보해 온실가스 저감사업에 재투자하고 있다. 지금부터라도 시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기술 지원과 활용 방안을 고심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시 관계자는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에 비해 처리 비용이 높고 효율성이 높지 않다고 판단해 시설을 철거했다"고 말했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온실가스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