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 지역의 근대건축물에 대한 미진한 전수조사와 담당인력의 부족으로 관리가 미흡한 가운데 현재 남아 있는 근대건축물과 주변 환경의 조화로운 보존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사진은 근대건축물이 남아 있는 중구청 일대. 이진우 기자 ljw@kihoilbo.co.kr
▲ 인천 지역의 근대건축물에 대한 미진한 전수조사와 담당인력의 부족으로 관리가 미흡한 가운데 현재 남아 있는 근대건축물과 주변 환경의 조화로운 보존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사진은 근대건축물이 남아 있는 중구청 일대. 이진우 기자 ljw@kihoilbo.co.kr
인천 지역 근대건축유산이 제대로 빛을 보지 못하는 데는 총체적인 문제가 깔려 있다.

각 구마다 지역 근대건축물 등을 조사·관리할 수 있는 전문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데다, 근대건축유산을 보존하고 관리할 총괄 부서가 없어 부서 간 혼선을 초래하고 있다.

11일 인천시에 따르면 지역 내 근대문화유산 건조물은 지난해 기준 총 210여 개다. 이는 2004년 문화재청의 근대문화유산 목록화 조사 결과를 토대로 시와 군·구가 자체 조사한 건축물을 포함한 수치다. 2004년 문화재청 조사 당시 지역 내 대상 건조물은 148개였다.

이처럼 목록화된 지역 근대건축물은 지속적으로 역사적 의미 발굴과 보존이 이뤄져야 하지만 지자체에서는 이를 담당할 전문인력이 거의 없다.

실제로 인천의 근대문화유산 건조물 중 80% 정도를 보유한 중구의 경우 담당 직원이 1명뿐이다. 전문성 강화를 위해 학예사와 계약해 관련 업무를 담당하도록 했지만 소화해야 할 업무가 쌓여 있다. 올해만 영종역사관, 대불호텔 터 복원, 생활사 전시관 등 담당해야 할 박물관 건립·관리 업무만 세 개다. 여기에 중구가 지난달 시작한 ‘인천시 중구 향토문화유산 전수조사 및 목록화 사업 학술용역’이 오는 10월께 마무리될 예정이라 담당 업무는 더 늘어난다.

중구 관계자는 "해당 용역 조사 결과는 개인 소유 건물을 포함해 지역 내 오래된 건축물을 구 지정 문화재로 관리할 수 있는 근거 자료가 될 것"이라면서도 "우리 구는 다른 지역보다 개체 수가 훨씬 많은 데다 근현대 관련 사업들이 동시에 진행 중이라 직원 1명으로는 부족한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하지만 전문인력 충원을 기대하기는 사실상 어려운 실정이다.

시 차원에서도 지역 내 근대건축물 관리가 미흡하기는 마찬가지다. 심지어 2015년 ‘한옥 등 건축자산의 진흥에 관한 조례’가 제정됐지만 관련 부서 관계자는 애경사 문제가 불거지기 전까지 이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이 조례는 지자체가 건축유산 보존이나 활용을 위해 기초조사를 실시하고 계획을 세우도록 하고 있지만, 제정 후 2년이 지나도록 인력 등이 체계화되지 못한 것이다.

시 건축계획과와 문화재과 간 업무 중복도 해결해야 할 문제다. 보통 건축자산 관련 업무는 건축계획과에서 담당하지만, 이는 주로 해당 건물 활용에 관해서다. 건축자산이라도 보존·관리하는 것은 문화재과 업무에도 포함돼 부서 간 혼선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전 인천시 문화재위원인 김용하 박사는 "효율적인 근대건축유산 관리를 위해서는 보존가치가 있는 문화재와 그렇지 못한 문화재를 구분하는 것이 필수 작업"이라며 "인천은 공장의 발상지로서 가치 있는 산업유산과 근대건축물이 많은 만큼 지자체 차원에서 충분한 인력 확보와 조사를 통해 제대로 보존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희연 기자 khy@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근대문화재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