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한국지엠.jpg
▲ 한국 GM부평공장 전경.
인천 경제의 한 축인 한국지엠의 위기<본보 7월 11일자 3면 보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초당적 협력과 지역 차원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한국지엠의 지속적인 적자와 국내 생산물량 축소가 가시화되고 있고, 지분 일부는 중국의 자동차회사가 인수를 검토하고 있다고 전해지는 등 자칫 ‘제2의 대우사태’를 맞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12일 한국지엠 등에 따르면 국내 자동차 생산물량 확보와 고용 안정 등 회사의 미래 전략 방안을 놓고 노사는 최근까지 교섭을 벌였지만 합의점을 이끌어 내지 못하고 있다.

앞서 노조는 지난 6∼7일 치러진 파업 찬반투표에서 조합원 68.4%의 찬성표를 받아냈지만 14일까지 노사 간 집중 교섭을 벌인 뒤 파업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하지만 미국에 본사를 둔 글로벌지엠은 지역 자동차업계의 요동에 이날 현재까지도 어떠한 공식적인 입장도 내놓지 않고 있다. 사측도 고용 불안에 시달리는 노조의 입장에 적극 공감하면서도 개별 사업장 차원에서 ‘지속가능한 장기적 발전 전망’을 내놓기는 사실상 역부족이라는 설명이다.

이에 노조와 부품협력사, 민주노총, 더불어민주당 소속 지역 국회의원이 먼저 나서 대책위원회를 구성했다. ‘한국지엠 30만 노동자 일자리 지키기 대책위’는 이날 국회에서 출범 기자회견을 갖고 정부와 정치권, 지역사회가 한국지엠 일자리 지키기를 위해 함께 나서 주기를 촉구했다. 한국지엠이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그만큼 크다는 이유에서다.

실제 부평공장에는 현장직 5천600여 명과 사무직 3천500여 명 등 총 1만5천여 한국지엠 종사자의 60%에 해당하는 9천100여 명이 일하고 있다. 여기에 1∼3차 협력업체만 1만여 개 사에 달해 관련 종사자만 따져도 20만여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부평공장이 지난해 부평구에 납부한 재산세와 지방소득세 등 지방세 총액은 200억 원이 넘는다. 창원·군산공장과 협력사를 더하면 한솥밥을 먹고 있는 30여만 명의 일자리가 글로벌지엠의 한국시장 재편에 따라 위협받을 수 있다. 현재 업계에서는 한국지엠의 주력 차종인 소형차 생산설비만 남게 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난무하다.

그러나 야당과 인천시, 부평구, 지역 경제지원기관 등은 아무런 움직임도 보이지 않고 있다. 대우자동차 시절과 달리 다국적 기업으로 변모한 기업의 문제에 나서기가 쉽지 않다는 이유를 든다.

인천상공회의소가 유일하게 한국지엠 문제 해결을 위한 지역 자동차 포럼 추진 등을 검토하고 있을 뿐이다. 인천시는 부평공장의 동향만 주시하고 있다. ‘강 건너 불구경’하고 있다는 얘기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글로벌지엠이 수익구조 재편과 미국 시장 강화를 위해 해외시장 철수를 본격화하고 있는 시점에서 지역사회가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다면 돌이킬 수 없는 상황으로 치달을 수 있다"고 말했다.

김종국 기자 kjk@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한국지엠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