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한국은행 인천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2017 제1차 지역경제포럼’이 열리고 있다.  김종국 기자
▲ 14일 한국은행 인천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2017 제1차 지역경제포럼’이 열리고 있다. 김종국 기자
"장기간 지속된 인천 지역 부동산시장의 활황기는 지역 내 고용 창출이나 제조업 등의 산업고도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기는커녕 각 구별 양극화를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지난 14일 한국은행 인천본부에서 열린 ‘2017 제1차 지역경제포럼’에서 참석자들이 공통적으로 한 말이다.

이날 포럼은 서종국 인천대학교 교수(도시행정)와 한은 인천본부 기획조사팀이 공동 연구한 ‘인천 지역 부동산 경기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적 시사점’이라는 주제발표와 종합토론으로 진행됐다.

서 교수는 "지역 부동산 경기는 수도권 및 전국 동향과 함께 움직이는 ‘초국지성’을 띠고 있다"며 "주택가격·지가·매매량 변동 등의 패턴이 수도권과 유사한 추세로 진행됐다"고 했다. 하지만 조사 대상 기간 2000∼2016년 중 인천의 부동산 활황기(2004∼2008년)는 유독 길었는데 서울·경기의 부동산 침체에 따른 건설업의 지역 유입과 신도시의 꾸준한 물량 공급이 맞물렸다는 분석이다.

그러면서 그는 "주택 공급 확대로 수도권에서의 인구 유입이 과도할 정도로 많아졌지만 활황기에도, 침체기에도 주요하게 늘어난 인구는 65세 이상 고령인구였다"고 했다. 서울에 비해 여전히 낮은 지대와 값싼 집값으로 경쟁력이 떨어지는 비생산인구가 주로 흡수돼 고용성장 없는 지역 부동산 호황기가 이어졌다는 얘기다.

서 교수는 "지역 제조업은 부동산경기 패턴과는 별개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며 "부동산 경기가 산업구조 개편에도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고 했다. 마찬가지로 활황기에도 지역 대형 소매점의 판매액 지수는 서울·경기보다 크게 낮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그는 2001∼2008년 사이 서구·중구·연수구 중심으로 높은 지가상승률을 보였고, 주택량의 증가나 총인구증감률 등이 구별로 심한 편차와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다고 했다.

이에 대해 이종현 인천발전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001년 이후 본격화된 구별 양극화 현황을 심도 있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며 "부동산 활황에도 역내 소비와 지출이 크게 늘지 않은 것은 가계대출을 갚기 위한 것으로 보이며, 지가 상승은 공장주들이 생산활동보다 임차업을 통한 수익 창출로 버틴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박정환 기호일보 정경부장은 "다주택 보유자에 의한 부동산 활황은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착시현상일 뿐이다"라며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이제는 신도시 중심의 부동산 개발 정책에서 벗어나 원도심 중심의 도심재생 및 주택 공유라는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종국 기자 kjk@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부동산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