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폐해와 논란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치러지는 각종 선거는 여전히 정당공천제를 유지하고 있다. 민주적인 절차에 따라야 한다는 전제는 기본이다.

 정당공천제란 공직선거에 출마하는 후보자를 정당이라는 정치적 결사체를 통해 선발하는 제도다.

 기초선거에 한해 정당공천제를 폐지하자는 주장은 진행형이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또다시 이 문제가 정치권의 핫이슈로 떠오를 가능성은 상존한다. 하지만 여기서는 정당공천제 찬반논란은 논의의 대상이 아니다. 정당공천제에 대해 일말의 입장도 밝히지 않고서 자신이 입고 있는 정당이라는 옷을 깡그리 부정하는 듯한 자치단체장의 언급에 대해 적절성을 따져보고자 할 뿐이다.

 최근 정찬민 용인시장이 해외 출장 직전에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에 ‘용인당 용인당원’이라는 글을 올렸다. 정 시장은 "저는 오로지 용인시 발전을 위해 노력해 왔고, 앞으로도 그렇게 할 것"이라며 "우리는 모두 용인당(소속)이고 용인당원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칭찬할 건 칭찬하고 비난이 아닌 건전한 비판을 해달라는 주문도 빼놓지 않았다.

 한데, 글을 쓴 의도가 전혀 이해되지 않는 건 아니지만 ‘용인당’이라는 표현이 가시처럼 목에 걸린다. 과거 지역 정치권 인사들의 모습과 오버랩되기 때문이다.

 과거 정당공천에서 배제된 이런저런 인사들이 지방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하며 ‘용인시민당원’이라거나 ‘용인특별시’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애향심과 정주의식을 자극하기도 했다. 어떤 인사는 용인발전을 위한다면 여야가 따로 있겠냐는 의미로 ‘용인당’이라는 용어를 차용하기도 했다.

 일견 그럴듯해 보인다. 하지만 이 같은 용어가 등장하는 배경을 외면해선 안된다. 실체 없는 용인당이라는 말이 책임정치와 어울리는지도 의문이다. 적어도 양머리를 걸어놓고 개고기를 파는 일은 없어야 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