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영그룹이 송도테마파크를 조성하기 위해선 크게 두 가지의 선결 과제가 있다. 하나는 땅속에 묻힌 폐기물에 대한 처리계획이다. 또 하나는 토양오염조사와 그 결과에 따른 적정 처리다. 둘 다 만만치 않은 사업이다.

테마파크 조성 터는 전체 49만9천575㎡다. 이 가운데 23만5천200㎡의 땅에는 1.5m의 깊이로 35만2천833㎡(49만3천969t)의 폐기물이 묻혀 있다. 1t당 처리비를 10만 원으로 계산했을 경우 490억 원에 달한다. 문제는 이 폐기물을 처리할 장소가 마땅치 않다는 점이다.

일단 수도권매립지 측은 부영 측의 비위생 매립폐기물 반입에 반대할 가능성이 크다. 생활쓰레기와 건설폐기물, 사업장폐기물 등이 뒤섞여 있어 선별하지 않고는 반입이 곤란하다.

그렇다고 청라매립지를 개발한 한국토지주택공사(LH)처럼 선별장을 별도로 마련해 폐기물을 종류별로 골라낸 뒤 처리하기도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바로 인접한 송도국제도시 내 주민들의 악취 민원에 걸리기 십상이다. 그렇다면 사설 매립장에 처리해야 할 처지다. 하지만 이 역시 쉽게 받아줄 사설 매립장이 있을지 의문이다.

최후 수단으로 사설 소각장에 맡겨야 하지만 1t당 처리비가 20만 원이 넘는다. 게다가 최근에는 사법기관이 처리용량을 넘겨 폐기물을 태운 소각업체를 대대적으로 단속했다. 이는 처리비 급증으로 이어지고 있다.

다음 문제는 폐기물 매립으로 인한 토양오염 여부의 확인 절차와 적정 처리다. 인천 지역사회는 조사 단계부터 투명성을 요구하고 있다. 토양오염 확인조사는 부영 측이 아니라 자치단체가 전문기관에 의뢰해야 한다는 것이 지역사회의 여론이다.

해당 지자체인 연수구와 학계, 시민단체 등으로 검증단을 구성해 폐기물 처리뿐만 아니라 토양오염 조사를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부도 나기 전 송도테마파크 터를 소유했던 대우자동차판매㈜조차 토양오염 확인조사를 제대로 하지 않았던 탓이다. 모두 3군데를 조사했으나 이 지점들이 폐기물이 묻힌 곳이 아닌 터의 가장자리였다.

더 큰 문제는 조사 결과 토양오염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다. 현행법상 오염된 토양은 외부로 반출할 수 없다. 토양을 정화한 뒤 그대로 다시 써야 한다. 이럴 경우 처리 비용이 급증하고 사업기간도 늘어질 수밖에 없다.

시 관계자는 "송도테마파크 조성을 계기로 비위생 매립폐기물 처리에 대한 롤모델을 구축할 방침"이라며 "우선 각계각층으로 검증단을 구성해 투명성을 확보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이창호 기자 ych23@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