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항 김포 고촌물류단지 안에 프리미엄 아웃렛(5만3천㎡)이 2015년 2월 들어섰다. 200여 개의 매장이 입점한 이곳은 연간 600만 명이 넘는 고객을 불러 모으고 있다. 서울 25㎞, 김포공항 7㎞, 올림픽대로와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의 교차점 등 탁월한 입지 여건이 한몫했다.

요트 194척(육상 58척 포함)을 계류할 수 있는 마리나 시설도 갖췄다. 수상계류 요금만도 한 달에 1척당 28만~64만 원이다. 항만을 떠나 부가가치가 있는 사업을 유치하고 있는 것이다.

경인항 인천의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 물류단지 안에 집배송센터 운영업체나 야적장을 쓰는 내수용 중고차 중개업체가 대부분이다. 근로자들이 끼니를 때울 수 있는 근린생활시설조차 구경하기 힘들다. 항만을 이용하면서 경인항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업체를 찾아보기 힘든 게 사실이다.

경인항의 개발 방향 중 하나는 해양·수상문화공간 제공이다. ‘경인아라뱃길 주변지 개발타당성 및 기본계획 용역보고서’가 2015년 12월 발표됐다. 국가하천인 아라뱃길 양쪽 2㎞ 안에 서구와 계양 6개 지구 460만여㎡에 주거시설, 친수공간과 문화·상업시설을 조성하는 계획안이었다. 친수구역 활용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했다.

하지만 전체 사업대상지 중 453만㎡가 개발제한구역(GB)이다. GB 해제 없이는 친수구역 개발 자체가 불가능하다. 당시 GB 해제 국가 물량은 4천463만㎡였고, 인천시 물량은 136만㎡였다. 국토교통부와 인천시는 경인아라뱃길 주변지 개발을 위한 GB 물량 해제 부담을 서로 떠넘겼다.

설사 친수구역 개발을 추진하더라도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개발이익금이 발생할 경우 90%가 국가하천관리기금으로 정부에 귀속된다는 점이다. 친수구역 개발이익의 90%는 하천관리기금으로 귀속되고, 나머지 10%만 사업시행자에게 돌아가는 법 체계 탓이었다.

한국수자원공사도 경인아라뱃길을 축으로 특화거점 조성을 검토하고 있다. 인천터미널 인근에 빛정원·수변관람차 등 친수 테마파크와 협곡을 이용한 가상현실·입체수목원 등 융합 관광 등이다. 5곳의 집객 지점 마련도 고민 중이다. 키즈 어드벤처·카트레이싱 등 가족 여가시설, 카페거리·피크닉공원 등 문화예술시설, 팬시마켓·전통시장 등 교류문화시설, 식물원·라벤더 테마정원 등 체험시설, 바이크 텔 등 자전거 특화시설 등이다.

경인아라뱃길은 단순히 화물을 실어나르는 물길이 아니다. 머리를 짜내면 ‘요트산업’이라는 새로운 산업을 키울 수 있는 곳이다. 조선·선박수리업체와 전자기계, 목재 등 인천은 기본 인프라를 갖춘 도시다. 170여 개의 유·무인도가 널린 인천 앞바다와 연계할 경우 해양관광산업의 핵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곳이다.

국가하천 주변지 개발이익금 환수체계 변경과 경인아라뱃길 주변 GB 해제를 위한 인천시와 국토부의 긴밀한 협조체제가 절실하다.

김덕현 기자 kdh@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