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이 부채도시의 굴레에서 벗어났다. 인천시는 그동안 허리띠를 졸라매느라 주위를 돌아볼 겨를이 없었다. 돈 드는 인천의 내일을 들먹거리는 것 자체가 사치였다. 이제 시는 재정정상단체의 요건을 갖췄다. 해묵은 굵은 현안들을 풀어내고 미래 발전 전략을 하나하나 꿰어 낼 때다. 본보는 인천의 한 획을 그을 사업, 그렇지만 좀처럼 나아가지 못하는 현안에 대해 짚어 본다. <편집자 주>

1-600.jpg
▲ 정부의 기본계획과 달리 통계적으로 경인항과 아라뱃길의 물류중심 항만시설 기능이 미약해 새로운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사진은 경인항 전경. 이진우 기자 ljw@kihoilbo.co.kr

올해 말 대규모 캠핑장(8만3천83㎡)이 문을 연다. 경인아라뱃길을 낀 수도권매립지 환경연구실증단지 동쪽이다. 110억 원을 투입해 오토캠핑장과 전망카페, 야외무대, 친수공간 등을 조성한다. 경인아라뱃길과 수도권매립지 주변 관광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인천시의 시도다.

 하지만 시가 이끄는 경인아라뱃길 관광 활성화 사업은 이것으로 끝인 모양새다.

 경인아라뱃길 협곡(길이 180m)을 잇는 출렁다리(폭 2m·총 사업비 37억5천만 원) 건립사업은 추경예산에 반영되지 않았다. 잡다한 짜깁기와 백화점식 개별 사업으로는 물류 기능을 상실한 경인아라뱃길을 융·복합 수변관광지로 키울 수 없다는 진단이었다. <관련 기사 3면>

 경인아라뱃길은 태생적 한계를 안고 있다. 개발제한구역(GB)과 하천구역에 따른 규제다. 경인아라뱃길의 72%가 국가 소유의 GB로 묶여 있다. 음식점이나 소매상업시설, 유원(관광)시설 등 관광 활성화의 필수 시설조차 들일 수 없다. 하천·공원·도로·녹지 등으로 쓰임새가 정해졌다.

 정부의 기본계획은 아라뱃길을 포함한 경인항을 연근해 물동량을 처리하는 항만시설로 사용한다는 것이다. 연안 컨테이너 항로 개설로 수도권 서북부 등 내륙 물류비를 줄인다는 계산이 깔려 있다.

 하지만 실패의 징후가 너무 짙다. 경인항의 물동량은 지난해 82만8천t(2015년 83만2천t)이었다. 정부 예측치의 4.25%에 불과했다. 해양수산부는 경인항을 만들기 전 ‘수도권항만기능정립·재정립계획(1999년 11월)’에서 2015년 경인항의 물동량을 1천954만7천t으로 예측했다.

 여객 처리도 지난해 13만3천 명(2015년 6만8천 명) 남짓했다. 올해 들어 6월까지 인천~덕적 연안항로 이용객도 12만1천589명이었다. ‘무늬만 항만’에 불과하다. 개장 5년밖에 지나지 않은 아라뱃길과 경인항이 물류 중심 항만으로는 기력을 다하고 있는 것이다.

 경인항 물류단지는 125만6천㎡(인천 73만4천㎡·김포 52만2천㎡) 정도다. 이 터를 조성한 한국수자원공사의 분양(인천 95.8%·김포 100%) 금액은 1조1천억 원이었다. 경인아라뱃길 건설사업비는 2조2천458억 원이다. 수자원공사 입장에서는 절반이나 밑진 장사다.

 ‘수변관광자원 개발과 수상문화공간 제공.’ 정부가 항만기본계획을 통해 밝히고 있는 경인아라뱃길의 환경 개선 방향이다. 그러나 규제의 틀에 갇혀 꿰지 못하고 있다.

 경인아라뱃길이 기로에 서 있다. 이대로라면 자생력을 잃은 채 ‘돈만 먹는 자전거길’로 전락할 수 있다. 물류 중심 기능의 과감한 포기가 마땅하다.

 경인아라뱃길을 살리는 길은 관광·여객·여가·상업·공공서비스가 결합한 융·복합 수변관광지로의 ‘리뉴얼’이다.

 김덕현 기자 kdh@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