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AG600.jpg
▲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 3층에 위치한 인천아시아드기념관. /기호일보 DB
2014 인천아시안게임 개최 후 3년이 지나도록 인천에서 아시안게임을 기억할 만한 행사는 하나도 없었다. 인천에서 열렸는지조차 모를 정도로 흔적을 찾기 어렵다.

아시안게임이 열린 서울이나 부산에서 볼 수 있는 기념공원이나 기념관은 고사하고, 흔한 마스코트 같은 상징물도 쉽게 찾아볼 수 없다. 그나마 대회조직위원회 청산단이 운영예산으로 건립한 ‘인천아시아드기념관’이 고작이다.

인천아시안게임의 성과와 그때의 감동을 역사로 만들어야 할 인천시는 지난 3년간 철저히 외면했다. 더 나아가 흔적 지우기에 급급했다는 지적을 받는다.

시의 이 같은 행태는 다양한 곳에서 발견할 수 있다. 다음 달이면 대회 개최 3주년임에도 기념행사는 없다. 시는 대회 이듬해인 2015년 간단한 기념행사로 1주년을 넘긴 후 지난해와 올해는 관련 예산을 한 푼도 편성하지 않았다.

인천아시안게임 유산사업을 위해 추진했던 (가칭)‘인천아시안게임기념재단’은 시의 반대로 중단됐다. 재단에는 아시안게임조직위원회에 몸담았던 전문인력이 참여하려 했으나 무산됐고, 이후 동호인 형태의 법인을 만들어 유산사업을 시도했지만 이 역시 시의 반대에 부딪혀 시작도 못했다.

이처럼 유산사업 추진이 번번이 무산된 이유에 대해 체육계는 대회잉여금 사용을 위한 시의 욕심을 꼽고 있다.

인천아시안게임·장애인아시안게임 청산단은 각각 39억 원과 58억 원 등 총 100억 원 가까운 잉여금을 시에 전달했다. 하지만 시는 장애인아시안게임 58억 원의 잉여금을 이미 일반회계로 돌려 사용했다. 유산사업이 아닌 시 일반사업에 사용한 것이다. 더구나 아시안게임 39억 원과 이달 중 결정될 예정인 조세심판원의 법인세(180억여 원) 납부 여부에 따른 일부 반환 금액 등도 시가 탐내고 있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

당초 시는 유산사업 등에 잉여금 사용을 약속했었다. 지난해 10월 청산단에 ‘체육진흥기금 또는 체육진흥조례 등을 제정해 2014대회 유산사업, 유·청소년 선수 발굴 육성사업, 기타 체육 발전을 위한 사업 등에 사용할 계획’이라는 공문을 보냈다. 그러나 이 약속은 지금까지도 이행되지 않고 있다.

이에 반해 국내에서 열린 86 서울아시안게임, 88 서울올림픽, 2002 부산아시안게임 등에서 발생한 잉여금은 철저하게 목적예산으로 사용됐다.

86 서울아시안게임과 88 서울올림픽의 잉여금 4천억 원(선수촌아파트 분양수익 포함)은 전액 국가출연기관으로 이관돼 국민체육진흥공단 운영과 서울올림픽기념관 건립, 시도 올림픽생활기념관 건립 지원(450억 원), 서울평화상문화재단(100억 원) 등 대회 유산사업으로 쓰였다. 2002 부산아시안게임 역시 잉여금 610억 원을 체육회관 건립(179억 원), 기념관 시설(20억 원), 생활체육시설 지원(160억 원), 장애인스포츠센터 건립(30억 원) 등으로 지출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대회 운영 잉여금 사용과 관련해 체육진흥기금 또는 체육진흥조례 등을 제정하려 했으나 몇 가지 문제가 있어 추진이 안 됐다"며 "시에서 적법한 절차를 거쳐 인천체육 발전을 위해 사용할 것"이라고 답했다.

최유탁 기자 cyt@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흔적 지우기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