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가계부채가 전년 대비 11.1% 증가하면서 올해 1분기 기준 1천359조 원을 넘어선 가운데 경기도는 주거지 확보를 위한 대출이 대부분인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연구원은 13일 ‘가계부채, 문제의 핵심과 해결 방안’ 보고서를 통해 가처분소득에 대한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 10여 년 동안 상승 추세로 2015년엔 169.9%에 이르러 정부 목표인 155%를 넘어서고 있으며, 소득 대비 가계부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GDP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015년 말 79.5%로 세계경제포럼(WEF)이 제시한 기준인 75%를 넘어섰고, 2016년 말에는 90%조차도 넘어선 상태다.

경기도의 경우 가계부채 규모(잔액)는 225조5천억 원으로 전국의 24%를 차지하면서 서울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으며, 발생 원인의 대부분은 부동산 관련 대출(내 집 마련 44.5%, 전월세 보증금 마련 39.8%)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도의 일반신용대출, 마이너스통장대출 등을 포함한 기타 대출의 36%가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에서 대출받아 위험성이 높았다.

또 가계대출 신용등급 분포는 고신용과 저신용 비중이 모두 높아 신용등급의 양극화가 심한 양상이다.

이 밖에 경기도 자영업자의 소득 대비 부채 비중과 소득 대비 상환액은 상용직 근로자에 비해 높아 서민 자영업자의 가계부채 위험성도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유영성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가계부채의 총량을 줄여 나가는 일은 경제성장이나 가계소득의 대폭 증대가 없는 한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 악화됐다"며 "지자체 차원에서 ▶마이크로 크레딧 사업의 효과 극대화 ▶저소득층과 노인을 위한 경기도와 보험회사의 의료보험금 일부 부담 ▶공공근로와 워크아웃 제도의 결합 등 가계부채 관련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정진욱 기자 panic82@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