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진행 중인 도시개발에 따라 철거된 1960년대 지어진 옛 선경직물 수원공장 내 톱니바퀴 형태의 전형적인 공장건물.<사진=독자 제공>
▲ 최근 진행 중인 도시개발에 따라 철거된 1960년대 지어진 옛 선경직물 수원공장 내 톱니바퀴 형태의 전형적인 공장건물.<사진=독자 제공>
최근 도시개발을 목적으로 진행 중인 경기도 및 수원시 산업화의 상징 건물에 대한 철거공사<본보 8월 11일자 1면 보도>는 근대문화유산에 대한 지자체 등의 무관심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15일 경기도와 수원시, 경기문화재단 등에 따르면 현재 철거가 진행 중인 ‘옛 선경직물 수원공장’이 위치한 권선구 평동 4-11 일대에 대한 개발계획은 낙후된 환경 개선 등을 위해 2008년 7월 수립된 ‘수원시 역세권1 지구단위계획’에 따라 마련됐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전문가들은 근현대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인정한 옛 선경직물 수원공장은 문화유산에 대한 지자체의 무관심으로 사라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2013년 경기도는 수원과 고양·용인 등 도내 7개 시·군을 대상으로 50년 이상 된 모든 형태의 문화재적 가치가 있는 자료를 취합해 ‘잠재적(예비) 등록문화재 조사’를 실시했다. 이에 따라 수원시는 2014년 국가문화재로 지정된 옛 수원문화원 건물과 옛 수원시청사를 비롯해 9~10월께 등록문화재 지정을 앞두고 있는 옛 소화초등학교 건물 및 옛 부국원 건물 등 총 9곳의 건축물을 조사 대상으로 도에 제출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였던 1944년에 지어진 사무실과 1959년 건립된 본관, 1960년·1964년 지어진 공장 등 수원을 비롯한 경기 지역 산업 발전의 역사를 간직한 건물들이 보존돼 있던 옛 선경직물 수원공장은 수원시가 제출한 조사 대상에서 제외됐던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해당 공장은 경기문화재단이 2011년과 2012년 두 차례에 걸쳐 실시한 연구조사에서 ▶공장의 역사성과 지역사적 의미 및 건물의 보존 상태 등을 고려할 때 공장 내 건물 전체를 근대문화재로 등재시킬 수 있는 높은 가치를 지녔다 ▶본관 건축물 자체의 문화재적 가치는 물론 내부에 비치된 각종 자료 등 콘텐츠가 매우 풍부해 이를 보존하고 산업박물관으로 활용해야 한다 등 보존 가치를 인정한 상황이었다. 이 밖에 수원시 내부에서도 해당 건물의 필요성이 제기됐지만 개발담당 부서가 이를 묵살한 채 개발을 강행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시 소속 한 학예연구사는 "시 문화담당 부서에서 수차례에 걸쳐 개발담당 부서에 해당 공장 내 위치한 건물의 가치 및 보존의 필요성을 전달했지만, 개발담당 부서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며 "아직 철거가 진행되지 않은 건물만이라도 보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시 도시계획과 관계자는 "해당 공장의 근대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와 이와 관련한 문화담당 부서의 보존 요청 사실은 전혀 몰랐고, 특히 선경직물 공장 일대에 대한 개발계획이 수립된 2008년에는 근대문화유산에 대한 인식이 없었다"며 "최근에는 해당 공장이 대기업의 소유이기 때문에 개발계획을 변경하기 어려워 보존계획을 수립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2015년 ‘도시계획 시민기획단’과 함께 현장을 찾아 건물의 가치를 확인한 뒤 SK 측에 지속적으로 요청해 지난해 상반기에 본관 건물의 보존은 확정했다"고 해명했다.

전승표 기자 sp4356@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상징건물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