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연합 군사훈련 ‘을지프리덤가디언(UFG)’이 시작됐지만 정작 비상시 시민 안전을 담보할 대피시설은 엉망이어서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인천 지역 민간 대피시설이 관리 부실과 홍보 부족으로 제 기능을 못하기 때문이다.

▲ 인천 지역 일부 비상 대피시설이 관리 부실로 제 기능을 못하고 있다.  우제성 인턴기자 wjs@kihoilbo.co.kr
▲ 인천 지역 일부 비상 대피시설이 관리 부실로 제 기능을 못하고 있다. 우제성 인턴기자 wjs@kihoilbo.co.kr

21일 인천시에 따르면 민간시설과 공공시설을 합쳐 총 928곳의 민방위 대피시설을 지정·운영 중이다. 정부가 조성한 공공대피시설과 달리 민간시설은 아파트 주차장과 상가 지하공간이 대피시설로 지정됐다.

그러나 민간 대피시설은 관리가 제대로 안 되고, 홍보 부족으로 시민 상당수가 대피시설이 어디에 있는지조차 모르고 있다. 행정안전부가 비상 대피시설 위치를 담은 국가재난안전포털 홈페이지를 운영 중에 있으나 이를 아는 시민은 많지 않다.

계양구에 거주하는 A(37)씨는 "비상시 대피시설이 어디 있는지 안내나 교육을 딱히 받은 기억이 없다"며 "당국 마음대로 지정만 해 놓고 시민들에게 꾸준하게 알리지 않는다면 비상시에 시민들이 어디로 대피해야 하는지 우왕좌왕할 게 뻔하다"고 말했다.

특히 대피시설로 지정된 일부 아파트는 관리사무소 직원조차 대피시설 지정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지자체와 협의해 민방위 대피시설 등으로 지정됐으나 관리업체가 교체되면서 비상 대피시설에 대한 업무나 지침사항 등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부평구의 한 아파트 관리사무소 관계자는 "관리직원이 바뀌면서 아파트가 대피시설로 지정된 사실을 인계받지 못했다"며 "비상시 아파트 주민 외 다른 사람까지 대피시키는 요령이나 특별한 지침서 등은 없다"고 말했다.

더 큰 문제는 대피시설이 제 기능을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부평구의 한 아파트는 대피시설인 지하주차장으로 내려가는 입구가 막혀 있어 비상상황 발생 시 대피시설을 찾지 못한 주민들의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대피시설로 지정된 계양구의 한 상가 지하는 상가에서 쓰이는 시설이나 쓰레기 등 온갖 잡동사니가 가득해 사실상 창고로 쓰이는 실정이다.

대피시설이 제대로 관리되더라도 공공시설과 달리 민간시설은 방독면과 필수 생활시설 등 이렇다 할 생명 유지 장비가 별도로 없는 점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이처럼 비상사태에 대비한 대피시설이 엉망으로 관리되는 한편에는 지자체의 무관심이 한몫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아파트나 상가에서 지자체의 대피시설 점검을 받아봤다는 이를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지자체에서 지정한 대피시설에는 모두 비상 유도 표지판을 부착해 놨는데 주민이 관심 있게 보지 않은 듯하다"며 "비상시 대피시설 홍보활동 등을 적극적으로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우제성 인턴기자 wjs@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