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나 기업만 바라볼 게 아니라 소비자와 시민단체 등이 모여 한목소리를 내야 인천경제가 살고 한국경제가 살아날 것입니다."

2017082301010008012.jpg
▲ 23일 인천문화예술회관 국제회의장에서 '한국GM 사업재편에 따른 토론회'가 열려 참석자들이 이항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의 발표를 경청하고 있다. 이진우 기자 ljw@kihoilbo.co.kr
한국지엠의 철수를 막으려면 지역사회가 뭉쳐 살아남을 수 있는 대안을 준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인천지역 군수·구청장협의회는 23일 인천문화예술회관 국제회의장에서 ‘한국지엠 사업 재편 움직임에 따른 토론회’를 열었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주제발표에서 "GM이 현재 철수설을 강하게 부인하는데, 우리가 왜 먼저 GM 철수를 스스로 인정하고 위기라고 평가하느냐"고 질책했다.

그는 최근 산업은행이 ‘한국지엠 사후관리 현황’ 보고서에서 글로벌 GM이 지분 매각이나 공장 폐쇄 등으로 철수하면 막을 수 없다고 한 것에 대해 "자세히 밝힐 수는 없지만 다른 (방지)장치가 있다"고 밝혔다. 이 연구위원은 "10월 16일 이후 한국지엠 지분 처분 제한이 해제돼도 국내 자본 개입 등 최대 5가지 시나리오가 나올 수 있다"며 "스스로 패배의 길로 갈 필요가 없다"고 했다.

그는 ‘국내 자동차업체 근로자 평균 연봉은 9천400만 원으로 세계 최고다’라는 국내의 왜곡된 정보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이 연구위원은 "특정 업체를 제외하고 국내 다른 자동차업체는 그보다 낮고, 부품업체 등 협력업체는 훨씬 낮은 3천만∼4천만 원 수준"이라고 했다. 이어 "‘동일 노동 동일 임금’으로 원청과 협력업체가 임금 차이가 거의 없는 미국과 유럽 등은 국내 자동차업계 전체가 평균 연봉이 세계 최고 수준인 줄 안다"며 "이 때문에 외국 투자자들이 국내 자동차산업 투자를 꺼리고 있다"고 꼬집었다. 또 ‘구조조정’이라는 단어보단 ‘구조개편’이라는 용어를 써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노사 문제가 아니라 노사 발전이라는 방향으로 접근하고, 지역사회가 함께 다양한 시나리오를 만들어 준비해야 크라이슬러나 아메리칸 모터스 같은 절차를 밟지 않을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토론회에 참석한 패널들도 한국지엠 살리기에 지역사회가 앞장서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이광호 인천평화복지연대 사무처장은 "2000년대 대우차 부도 때 ‘인천지역 자동차산업살리기 범시민협의회’를 만들었던 것처럼 이번 사태를 계기로 기업과 학계, 시민사회가 공동 연구사업을 마련하고 ‘지역 차 사기 선순환 구조 만들기 운동’을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덕현 기자 kdh@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