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이 각자도생에서 벗어나 지역에서 공생할 수 있을까. 지역 청년과 전문가들은 제각각 진행되는 청년 일자리나 창업지원정책을 아우를 구심점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인천시가 유관기관의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지역에 맞는 일자리를 발굴해야 한다는 것이다.

1.jpg
▲ 21일 인천의 한 대학교 앞 커피전문점에서 학생들이 모여 앉아 공부를 하고 있다. 이진우 기자 ljw@kihoilbo.co.kr
23일 시에 따르면 청년 일자리정책에 관여하는 주요 기관은 인천시와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 인천상공회의소 등이다. 여기에 인천지방중소벤처기업청과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중소기업진흥공단 인천본부, 한국산업단지공단 등도 창업 지원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여러 기관에서 사업이 제각각 진행되면서 정작 지역 특성을 반영한 정책을 발굴해야 할 시는 청년 일자리 현황조차 파악하기 힘들다. 일자리정책을 주로 관할하는 중부노동청이 중앙정부의 정책 위주로 사업을 추진하다 보니 그렇다. 정작 지역에 맞춘 일자리 지원은 도외시 되기 일쑤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따라 시가 정부 정책과 별도로 자체적으로 양질의 일자리에 접근할 수 있는 정보 발굴과 컨설팅 방안을 찾을 필요성 또한 제기된다. 지역 대학과의 네트워킹이 좋은 방법이다. 성장가능성을 중심으로 선정한 지역형 우수 청년 일자리 등을 지역 대학·고등학교와 연계해 지속적으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전통시장 청년상인 육성사업도 구심점이 필요하다. 현재 기초단체별로 제각각 진행되는 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다. 시가 초기 네트워크 구축은 지원하되 직접 참여가 중요하다는 게 청년상인들의 주장이다. 지금까지 관이 움직였던 청년상인 사업은 한시적인 사업비 지원에 그치는 등 지속가능한 여건을 형성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기존 창업 경험자들로 ‘일괄 통합 지원 시스템’을 구축해 기획단계부터 보육과정과 사후관리까지 참여하게 하는 방안이 대안으로 제시된다. 이 방법은 기존 사업에서 놓쳤던 특성화된 콘셉트 도출, 상인 간 시너지 효과 극대화 등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무작정 전통시장 수를 늘리기보다는 특화가능한 시장에 집중해 청년상인을 보육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지적이다. 기존에 창업했던 청년들이 신규 창업자에게 노하우를 전수하고 보육과정에 참여함으로써 청년 사업경쟁력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지역 청년과 전문가들은 청년의 지역 정착을 위해 무엇보다 장기적인 계획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신기항 동구청년상인 대표는 "청년 문제는 단순히 금전적인 지원이 아니라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며 "지역에서 청년의 목소리를 낼 만한 구심점이 생겨야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청년 일자리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