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 송도 워터프런트 조성사업이 수질 악화로 몸살을 앓고 있는 북측수로의 수질 개선공사로 축소될 위기에 처했다.  이진우 기자
▲ 인천 송도 워터프런트 조성사업이 수질 악화로 몸살을 앓고 있는 북측수로의 수질 개선공사로 축소될 위기에 처했다. 이진우 기자

지역사회의 논란 속에 추진돼 온 인천 송도 ‘워터프런트 조성사업’이 무산될 위기에 처했다. 낮은 사업성을 이유로 당초 ‘ㅁ’자에서 ‘ㄷ’자로 송도 11공구 수로 조성안을 삭제한 데 이어 또다시 석연치 않은 이유로 1단계 사업을 북측수로 수질 개선에 국한시켜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27일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3월 시작된 송도 워터프런트 기본설계용역이 최근 50%의 공정률을 돌파한 뒤 재속도를 내지 않고 지난 5월께부터 지연 및 보류되고 있다.

 이 사업을 약 48억 원에 수주한 A엔지니어링 컨소시엄이 인천에 꾸린 합동사무소에는 이날 현재 기본 업무인력만이 상주한 채 현장기술직 등은 더 이상의 과업 수행을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발주처인 인천경제청의 의뢰에 따라 이들은 워터프런트 1단계 사업의 한 축인 북측수로 6.55㎞에 대한 수질 개선 방안을 담은 ‘아암 패밀리 리버’의 기본설계만 집중적으로 추진해 왔다.

 반면 송도 6·8공구를 관통하는 길이 3.78㎞의 ‘옐로 선셋 레이크’ 사업에 대해서는 ‘자유조사’를 맡긴 채 현장기술용역을 진행하지 않고 있다. 북측수로의 수질 전체를 관리하는 시설물 도입 등만 고려되고 있다는 얘기다.

 인천경제청은 용역 지연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그 배경에 대해서는 극도로 말을 아끼고 있다. 정부 등이 사업타당성에 끊임없이 문제를 제기한 일본 오다이바 비치를 본딴 인공해변 조성이나 호주 달링 하버 방식의 송도 하버 조성 등에 대해 지난 4월 의뢰한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의 조사 결과가 불투명하다는 납득하기 힘든 이유를 내세우고 있다.

 앞서 인천시 지방재정투자심의위원회는 6천여억 원(전액 시비)에 이르는 막대한 예산 규모를 감안해 한국지방행정연구원으로부터 타당성 조사를 받으라고 주문한 바 있다. 2012년 인천발전연구원이 타당성용역을 실시한 이후 두 번째 검토다.

 송도 워터프런트 사업이 폐쇄형 수(水) 공간 계획으로 인한 수질 악화 문제 해결에 초점이 맞춰질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는 모양새다. 이대로라면 워터프런트가 아닌 유수지 수질 유지·관리 공사로 전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인천경제청이나 인천발전연구원은 이를 뒷받침하는 언급을 줄기차게 해 왔다.

 인발연 관계자는 "송도 워터프런트 사업의 최종 목표는 수변공간을 활용하기 위한 수 공간의 인위적 조성이 아닌 수질 확보를 위한 수순환 체계의 구축"이라고 강조했다. 투입비에 비해 해수 및 기후적 특수성으로 수변 레저·문화공간은 조성 이후 활용도가 떨어질 수 있다는 근거를 들었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정부에서 인공 해변이나 친수공간의 타당성이 낮다는 말을 들었다"며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의 타당성 결과와 상관없이 북측수로의 수질관리 시설물 공사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다"고 말했다.



김종국 기자 kjk@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