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가 갈수록 노인이 살기 힘든 세상으로 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OECD국가 가운데 노인 복지 최하위권과 노인 자살률 최상위권을 동시에 차지했다. 유례가 없는 빠른 고령화로 노인 복지제도를 마련할 시간이 부족했고, 경제 위기로 노인문제에 관심을 기울일 겨를이 없었던 탓이다.

 현재 대한민국 고령인구 비중은 전체 인구의 13.2%(2016년 기준)를 넘어선 초고령화 시대로 접어들었다. 이대로 가면 2050년 인구 10명 중 4명은 노인이 된다고 한다. 하지만 노인이 처한 현실은 비참하기만하다. 65세 이상 노인 빈곤율은 지난해 기준 47.7%로 OECD 평균 12%에 비해 4배 가까이 높다. 2명 중 1명은 빈곤의 고통에 시달리고 있는 셈이다. 자살률은 10만 명당 55.5명으로 OECD 평균 자살률에 비해 5배나 높다. 역시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치이다.

 이제는 이런 비극에서 벗어나야 한다. 은퇴 후 사회 활동이 적어지면서 우울증을 앓거나 생활고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방치된 노인들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키고, 일자리 창출을 통해 노인들의 사회활동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노인 사회활동 참여의 원동력은 일자리 창출이다. 일을 한다는 것은 소득 창출로 이어져 노인들의 자아 성취감을 높이고,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 생활을 보장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다. 따라서 국가와 지자체는 노인 일자리 마련을 통한 노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또 가족과 이웃과의 관계가 단절된 홀몸노인의 고독사 문제는 사회의 큰 비극이다. 미연에 예방하기 위한 종합적인 보호대책이 마련돼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지난해 6월 세계보건기구(WHO) 고령친화도시 인증·가입을 비롯해, 노인 복지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고령친화도시 국제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고령사회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수원시의 고령친화도시 사업은 의미가 크다 하겠다. 아동·청소년·여성·노약자 모두에게 살기 좋은 환경 조성으로 고령에도 불편 없이 사는 도시가 고령친화도시다. 스스로 자립할 수 없는 노인을 국가와 사회공동체가 책임지는 것은 극히 당연한 일이다. 복지예산 130조 원 시대에 복지사각지대에 노인들을 몰아내는 것은 더불어 사는 사회가 아니다. 세태 변화에 대응할 합리적 제도정비가 필요한 시점에 있음을 정치권은 인식해야 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