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검색 600.jpg
▲ 인천공항 제 2여객터미널 T2 출국심사장. /이승훈 기자 hun@kihoilbo.co.kr
인천국제공항에는 국민 정서는 있고, 승객 편의 제고는 없다. 이상한 논리에 밀려 서비스 1등 공항의 입지가 흔들리고 있는 것이다. 인천공항에 없는 일반인 패스트트랙(Fast Track·신속한 출입국 통로)은 사회주의 국가에서도 도입 중이다. 항공사·인천국제공항공사 등 관련 업계가 국토교통부 주관의 ‘출입국간소화위원회’에 수차례 패스트트랙 서비스 심의를 요청했지만 연거푸 물거품이 됐다. ‘국민 정서상’ 맞지 않다는 이유에서였다. 국내 제도 개선이 필요한 대목이다.

30일 항공업계·항공사 운영위원회 등은 현재 인천공항에 설치된 패스트트랙이 제 기능·역할을 하기 위해선 프리미엄 승객 등 상용 고객에 대한 이용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세계 공항 간 경쟁에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도입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항공업계 측은 패스트트랙 도입은 전 세계적인 트렌드(유행)로, 최근 신공항을 건설하는 국가에서도 우선 적용하는 서비스 항목이라고 설명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실제 사회주의 국가가 포함된 동남아 일부 공항에선 입출국장에 비즈니스석 이상의 프리미엄 승객들에게 패스트트랙 티켓을 지급하고 있다"며 "해당 공항에서 편의성을 느낀 고객들이 인천공항에 프리미엄 승객에 대한 패스트트랙이 없는 사실에 불만을 제기하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이어 "국제 행사 개최 등 유치 경쟁에서도 패스트트랙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공사 측도 항공업계와 마찬가지로 인천공항 패스트트랙 상용화 필요성이 있다는 입장을 전했다.

공사 측은 내년 1월 개항 예정인 제2여객터미널(T2)에 출입국 수속 등의 신속성을 위해 최첨단 기술을 도입한 전신검색대(원형검색장비)·자동출입국 수속기기 등을 설치하고 있지만 매년 증가하는 여객과 시설 운영 측면에서 패스트트랙 도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공사 관계자는 "그동안 항공사업계 등과 상용 고객 패스트트랙 서비스 도입을 추진해 왔다"며 "하지만 국토부 등 관계 기관 등에서 국민 정서상 힘들다는 이유로 보류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국토부는 패스트트랙 상용화 건에 대해 위화감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관계 기관(법무부·문체부·외교부·행자부·국방부 등) 등과 협의와 동의 절차를 거쳐야 알 수 있다는 입장을 전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패스트트랙 상용화 도입은 아무것도 결정된 것이 없고, 항공사 등에서 건의한 적은 있지만 안건으로 상정되지 않았다"며 "제도 자체를 바꾸기 위해서는 관계 기관 등과 구체적인 논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국토부는 지난해 패스트트랙 서비스 확대에 따라 고령자의 연령을 70세 이상으로 하향 조정하고 국가유공상이자, 5·18민주화운동 부상자, 한국방문우대카드 소지자를 포함하기로 했다. 또 가족여행객을 배려해 동반여객도 2인에서 3인까지 확대했다. 이는 출입국절차 간소화위원회(위원장 국토부 2차관)의 심의를 통해 결정됐다.

이승훈 기자 hun@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패스트 트랙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