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고령사회’로 진입했다. 지난 2000년 ‘고령화사회’로 들어선 지 17년 만의 일이다. 지난 8월 말 기준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는 5천175만3천820명으로, 이 가운데 65세 이상이 전체의 14.02%인 725만7천288명을 기록했다. 유엔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은 ‘고령사회’,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로 구분한다. 전라남도는 21.4%로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이처럼 우리 사회가 고령사회를 넘어서서 초고령사회로 질주하고 있지만, 국가적으로 이에 대한 마땅한 대책이 제시 되지 못하고 있으며, 노년의 삶의 질에 대해서도 대책을 제시 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고령화는 엄연한 현실일 수밖에 없다. 어차피 의료기술의 발달로 노인인구는 계속 늘어날 것이다. 따라서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노인인구의 비율이 현재는 14%이지만,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은 먼 훗날이 아니라 바로 닥쳐올 일이다.

고령화의 주원인은 저출산과 기대수명의 증가다. 저출산문제는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보육서비스 인프라, 자녀의 사교육비 증가 등 사회적인 요인에 기인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이 개선되면 저출산 문제는 어느 정도 완화될 여지가 있다고 하겠다. 하지만 은퇴 후 30~40년의 기간을 무직 상태로 지내 경제적 빈곤과 정서적 불안에 처한 노인들에게 퇴직 이후 적정 수준의 소득 보장 방안 마련은 시급을 요하는 일이다. 우리나라의 노인 빈곤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하위를 기록할 만큼 준비가 부족한 실정이다. 질병·빈곤·소외 등 노인들이 직면한 문제들을 해소하는 최고의 방법은 노인 일자리다. 하지만 정부와 지자체에서도 추진하는 노인 일자리 사업에도 참여를 원한다 하더라도 제도의 벽은 높기만 해 아무나 할 수 없는 게 현실이다.

우리 사회가 노인들의 사회활동 참여를 등한시하고 계속 방치하다가는 큰 재앙이 될 수 있다. 노인들도 생산자로서, 또는 소비자로서 우리 경제성장에 기여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고령화의 부정적인 측면보다는 긍정적인 차원에서 해결책을 모색해야 실질적인 대안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노인문제가 화급하더라도 장수는 분명 축복받아야 마땅하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