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기.jpg
▲ 김민기 (사)인천언론인클럽 명예회장
국내 대형 유통업체인 신세계백화점의 부천시 상동 입주를 두고 인구 55만의 부평구가 접경도시인 인구 100만의 부천시를 상대로 2년 여간의 투쟁 끝에 신세계백화점 입주를 막았다.

 문제의 발단은 신세계백화점이 부평구와 접경지역인 부천시 상동에 입주하겠다고 발표한 것에 대한 부평구의 반대로부터다. 형식적으로는 부천시 상동이지만 실제 생활권이 부평구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부평구는 신세계 입주 예정지에서 거리가 부평구 삼산시장 0.8km, 부평깡시장1.7km, 부평종합시장이 2.3km에 불과했고 부평지하상가와 문화의 거리 등이 밀집해 있는 부평역도 2.3km에 불과한 이곳에 신세계 종합쇼핑몰이 입주하는 것은 인구 55만 부평구민들의 쇼핑문화가 부천시로 쏠릴 것은 자명한 일이기 때문이다.

 2015년 부천시가 부평구와 인접해 있는 영상문화 사업단지 복합개발 민간사업 우선 대상자로 신세계 컨소시엄을 선정하고 신세계백화점 유치를 추진해 왔다. 그런데 신세계가 대형 창고형 할인 매장인 이마트 트레이더스와 백화점을 포함한 복합쇼핑몰을 지을 것이라는 계획이 알려지자, 반경 3km 내 인천지역 상인들과 특히 부평구가 반발하고 나섰다.

 부천시청 후문에서 생업을 뒤로하고 100일간 철야 농성과 1인 시위, 부천시장 면담 요청에 이어 부천시청 점거 규탄 대회를 벌이는 한편 부평구의회의 건립 반대 결의문 채택으로 부천시장과 시의회 의장에게 전달하는 등 전방위 투쟁을 계속해 왔다. 이 같은 지역 상권의 반발이 계속되자 신세계 측이 당초 계획인 7만6천여㎡에서 3만7천여㎡로 대폭 사업 계획을 수정했으나 계속되는 반발에 백화점 부지 매매계약을 지난달 30일까지 연기하기에 이른 것. 신세계 측은 인천지역 중소상인 단체와 부평구 등 이해 당사자 간의 의견 갈등이 해소되지 않고 있는 점을 이유로 토지매입 계약을 포기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이로써 부천 신세계 복합쇼핑몰 조성 사업은 최종 무산된 것이다.

 이 같은 결과가 오기까지는 2년 여간의 오랜 기간이 걸렸다. 부평구는 지난해 7월 여야 4개 정당과 상인단체, 시민단체와 함께 신세계 입주 저지를 위한 민·관 협의회 구성으로 대응해 나갔다. 부천시 상동 신세계 입주는 지역 상권만 잠식하는 것이 아니라 이 지역은 서울 외곽순화도로로 김포·중동·시흥 구간으로 수도권 최악의 상습 정체 구간이다. 이 구간 하루 통행량은 1일 평균 25만 대 이상으로 신세계가 입주 시 교통지옥이 우려되는 지역이다.

 이번 신세계 사례는 우리에게 큰 과제를 던져 주었다. 경제적 불평등으로 인한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해 경제 정의가 반드시 실현돼야 한다는 것이다. 전국적으로 유통재벌들의 무차별적인 골목 상권 침탈은 지금도 전국적으로 20여 곳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번 신세계 출점 포기가 좋은 사례가 되어 롯데, 현대 등 다른 대기업들에게도 전파되길 바란다. 대기업이 대형 유통구조 독점을 통해 수조 원의 이익을 얻는 동안 수많은 중소 상인들과 서민들은 경제 활동의 터전이 극히 위축되거나 상실돼 더욱 경제 민주화에 역행하는 현상은 계속 심화될 것이다.

 "정부에서는 전통시장, 상점가의 보호 지원 정책으로 막대한 지원을 통해 소상공인 활성화 사업에 역점을 두는데 골목 상권과 서민경제 붕괴 요인이 내재된 실효성 있는 유통법 개정 발의에 대해 아직도 국회에서 잠자고 있다"며 "조속한 법안 통과로 그 어느 때보다도 정의가 실현되는 사회 분위기 조성이 시급하다"는 홍미영 부평구청장의 바람이다. 결과적으로 이번 신세계 입점 포기로 부평구 지역 상권 보호가 실현됐을 뿐 아니라 부평구 주민들의 연간 1조 원대의 유출을 막은 경제적 효과를 거둔 쾌거였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