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 청년상인 사업은 청년뿐 아니라 그 지역 전체에 영향을 미칩니다. 미래에 대한 투자라는 생각에서 청년상인을 바라봐야 지역이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전통시장 청년상인 지원사업의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공공기관 위주의 일방적 지원을 벗어나 청년상인들과 지역이 중심이 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인천시와 인천지속가능발전협의회 경제분과는 13일 부평아트센터에서 ‘인천 청년상인 살길을 찾다’라는 주제로 포럼을 열었다. 지역 전통시장 청년상인 대표를 비롯해 인천상인연합회, 인천지방중소벤처기업청, 지역 대학, 시의원 및 시 관계자 등 40여 명이 참여했다.

발표자로 나선 청년상인들은 청년이 중심이 된 통합적인 관리체계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청년상인 지원사업이 확대되는 추세지만 1년의 지원기간이 끝나면 생존율이 65%가량에 불과하다. 2015년부터 지역 내 전통시장 6개소에 37억7천만 원을 들여 청년점포 74곳을 지원했지만 현재 47곳만이 남아 있다.

장은주 부평청년상인 대표는 "개별적으로 진행되는 현 지원시스템에서 청년상인사업단이 중심이 된 공동체 네트워킹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현장 경험과 전문성이 있는 사업단이 창업 전후를 관리하고 지역과 협업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지역에 기반해 사업이 진행돼야 한다는 의견도 이어졌다. 청년상인들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지역에 특화된 사업을 발굴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수 사례로는 올해 문을 연 강화중앙시장 청년몰이 제시됐다. 시장의 역사와 특색에 맞는 아이템을 정하고 운영하는 방법으로 경쟁력을 높인 사례다.

행정의 역할로는 청년상인들이 좋은 여건에서 사업을 시작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이 제시됐다.

유제홍 시의회 산업경제위원회 위원은 "자기자본이 취약한 청년들에게는 접근성이 좋은 자리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시가 집적화된 대규모 청년몰을 조성하고, 청년상인들이 적어도 2∼3년간 인큐베이팅 과정을 거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인천청년조례와 청년재단 설립 등 청년들이 지역에서 활동할 수 있는 제도 구축 등의 의견이 나왔다.

유명상 청풍상회 대표는 "청년상인들이 인천에서 장사를 하고 싶어 하는가가 가장 중요한 문제"라며 "청년들이 수혜자로 머물지 않으려면 잘된 사례와 정책들을 보고 창업을 꿈꿀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