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실업률이 8월 기준 9.4%로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 이후 18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았다. 전체 취업자 증가 폭도 7개월 만에 다시 20만 명대로 떨어져 일자리대란이 갈수록 심해지는 양상이다. 취업준비생, 졸업 유예생 등을 포함한 청년층 체감실업률은 전년보다 1.0%p 오른 22.5%로 나타났다. 청년이 선호하는 기업들의 신규 채용이 줄고 있는데다, 더 나은 일자리를 얻기 위해 취업을 미루고 있는 탓이다.

 청년실업의 근본적인 원인은 성장 동력을 상실한 우리 경제에 있다. 국내외적 경쟁이 격화됨에 따라 기업은 기술개발과 자동화를 통해 신규 고용을 최소화하고 외주 용역 비중을 늘려 직접 고용을 줄여나가는 추세가 일반화되고 있다. 이에 상대적으로 높은 임금과 안정적 고용, 복리후생이 보장되는 양질의 일자리가 줄어들면서 청년실업이 증가하고 있다. 청년들이 중소기업을 멀리하고 공무원·대기업에 목을 매는 반면, 중소기업은 회사를 이끌어갈 젊은 인재들을 육성하지 못하고 몰락한다면 우리 경제는 위기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청년들이 취업을 못하는 큰 원인이 바로 양질의 일자리 부족 탓이다. 당장 구인구직 사이트를 열면 사람 구하는 곳은 널렸지만 열악한 근무환경 때문에 기피한다. 결국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야 청년들이 취업 활동을 할 수 있게 되고 특정 직업군에만 몰리는 현상도 줄어들 것이다. 청년실업은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는 문제를 넘어 국가적·사회적 차원의 문제인 만큼 청년들이 우리 사회에서 배제되지 않도록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고 해결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취업을 가로 막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임금격차 해소, 3D업종의 근무환경 개선 등 수많은 난제들부터 해결해야 한다.

 청년실업은 청년들의 노동의욕을 상실케 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사회적으로 소외됐다는 좌절감으로 자존감에 커다란 상처를 줄 수 있다. 또한 취업이 늦어지면서 결혼과 출산도 지연돼 고령화 사회 속의 저출산 문제를 더욱 악화시킨다는 점에서도 사회적 재생산의 큰 장애가 된다. 정부는 먼 앞날을 보고 일관된 정책 추진에 전력을 다해야 할 것이고, 개인 또한 사회구성원으로서 개인의 특기나 취향에 맞는 직군을 선택해서 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까 싶다. 청년실업을 적극적으로 해결할 현실을 잘 반영한 실용적인 정책 마련을 기대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