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인천시 서구 북항배후단지에 위치한 한 골재 선별업체에서 굴착기가 터파기 흙을 퍼 선별기계 투입구에 넣고 있다(왼쪽). 지난 6일 오후 인천 중구의 남항 모래 전용부두의 한 야적장. 바닷모래 부족으로 인천지역 채취업체들이 하나 둘씩 무기한 휴업 상태에 들어가고 있다. 이진우 기자 ljw@kihoilbo.co.kr
18일 오후 인천시 서구 북항 배후단지에 위치한 A기업. 골재 선별업체인 이 기업은 터파기 흙을 선별기 투입구에 넣어 레미콘용으로 쓰일 잔골재를 선별하느라 정신이 없다. 25t 덤프트럭은 선별 작업을 마치기가 무섭게 골재를 싣고 공사 현장이나 레미콘업체로 향한다.

 정부가 올해 들어 바닷모래 채취를 금지하면서 수도권 건설업체들은 골재 파동<본보 9월 8일자 1면 보도>으로 아우성이다. 골재 파동은 불량 모래 생산으로 이어질 기미를 보이고 있다. <관련 기사 3면>

 국토교통부가 이달 발표한 ‘2017년도 골재수급계획(수정)’ 중 2017년도 건설투자 및 지역별 골재 수요 비중을 보면 불량 모래의 생산 가능성을 어느 정도 감지할 수 있다.

 서울·경기·인천의 골재 수요(추정치)는 7천105만2천㎥이다. 이 중 모래 수요량은 3천83만7천㎥, 자갈은 4천21만5천㎥다. 모래는 인천해역의 바닷모래(채취량 700만㎥)로 충당한다.

 지금도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바닷모래 채취가 중단되는 내년부터 인천을 비롯한 수도권 건설 현장은 본격적인 ‘골재 대란’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인천 앞바다의 바닷모래가 수도권 건설 현장 콘크리트 자재 공급량의 80%를 차지했기 때문이다.

 바닷모래가 없으면 인천 지역은 건설 현장 터파기 과정에서 나오는 흙 모래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콘크리트용 잔골재는 바닷모래와 공사 현장에서 나오는 원석 등 터파기 흙을 부순 모래와 산림모래, 강모래, 개답사(논밭에서 채취하는 모래)로 만든다. 하지만 인천에서 산림모래 채취가 허가된 곳은 강화의 단 한 곳뿐이다. 강모래나 개답사는 아예 없다시피 한다. 경기 지역에서 강모래나 개답사를 가지고 온다 해도 거리가 너무 멀어 경제성이 떨어진다.

 인천에서 잔골재를 만드는 업체는 바닷모래 11곳을 빼고 모두 15곳이다. 이들 업체가 생산할 수 있는 잔골재는 연간 592만1천㎥로, 해사업체의 생산능력(1천234만8천㎥)의 47.9%에 불과하다. 바닷모래 부족으로 납품하기에 급급한 일부 골재 선별·파쇄업체들이 불량 골재를 생산한다는 의혹이 끊이지 않고 있는 이유다.

 콘크리트용 흙 모래는 바닷모래보다 절대건조밀도와 흡수율, 안정성, 마모율이 떨어진다. 완벽하게 세척하지 않으면 점토 성분이 남아 있기 마련이다. 이런 모래로 콘크리트를 만들 경우 강도가 떨어지는 등 불량률이 높아진다. 흙 모래가 들어간 레미콘으로 5층 이상의 고층 건물을 지을 경우 균열이나 붕괴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지역 레미콘업체 대표는 "실제로 불량 잔골재가 납품되는 경우가 있다"며 "다시 세척할 수 있는 기계가 없기 때문에 불량 잔골재가 들어와도 그냥 쓸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창호 기자 ych23@kihoilbo.co.kr

김덕현 기자 kdh@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골재 대란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