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새우젓.jpg
▲ 지난 9월 용유~장봉도 사이의 어장에서 어선들이 젓새우 조업을 하고 있다. 인근 어민들은 이들 어선 중 대다수가 타 지역에서 원정조업을 왔다고 주장하고 있다. <사진= 옹진군 신도 주민 제공>
"어지럽게 쳐 놓은 새우잡이 어망으로 안전 항해에 지장을 받아 막배 시간이 변경됨을 알려 드립니다."

지난달 27일 인천시 옹진군 신도 주민들은 삼목~장봉 항로 여객선의 운항시간이 지연됐다는 문자를 받았다. 매년 반복되는 다른 지역에서 올라 온 어선의 새우 원정 조업 때문이다.

9일 시에 따르면 지난해 젓새우 생산량은 2천775t(어획고 139억7천500만 원)이다. 2011년(6천289t)부터 꾸준히 전국 2위 자리를 지키고 있지만 새우어장 규모에 비해 어획량은 적다는 분석이다.

어민들은 그 원인으로 새우철인 9~11월이면 원정 조업을 하는 충청·호남 지역 어선들을 지목한다. 몰려드는 타 지역 배들은 대다수가 10t 이상으로 근해 조업만 가능하지만 단속이 허술한 틈을 타 연안구역을 넘나든다. 새우어장이 풍부하게 형성된 연안은 시로부터 허가를 받은 인천·경기지역의 10t 미만 어선만이 조업할 수 있다. 이 경우 타 지역 어민들은 인천에서 연안어업 허가를 받은 배들을 빌리는 방식으로 꼼수를 부려 어업행위를 한다. 지난해 기준 새우조업 허가는 859건이지만 실질적으로 인천 어민들이 조업하고 있는지는 실태 파악이 힘든 상황이다.

올해는 위장전입을 해 70억 원의 수익을 챙긴 이들이 붙잡히는 등 불법 행위까지 끊이지 않고 있지만 법망을 교묘히 빠져 나갈 경우 단속도 어렵다.

섬 앞바다에 20~40척씩 대거 포진한 배들을 보는 지역 어민들은 속이 탄다. 새우조업을 하고 싶어도 어업권이 없거나 어선의 장비 노후 등으로 조업을 포기하는 이들이 많기 때문이다.

그 사이 인천 연안 젓새우는 타 지역 특산물로 둔갑하고 있다. 타 지역 어민들이 잡은 젓새우는 배에서 바로 소금을 뿌려 삼목항 등 선착장에 도착하는 즉시 각 지역으로 운반된다.

반면, 인천 어민이 잡은 젓새우는 강화군 외포리 위판장(경인북부수협)에서 대부분 팔려 나간다. 원정 조업은 지역경제에도 마이너스가 되는 셈이다.

이렇다 보니, 깜짝 단속에 그칠 것이 아니라 지역 어민들의 젓새우 조업활동을 지원해야 한다는 얘기까지 나온다.

시 관계자는 "타 지역 사람들이 인천에 허가난 배를 임대해 조업하는 방식은 불법이 아니다"라며 "시 지도선 1대가 연평도에 들어가 있어 조업 단속은 해경이 단속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젓새우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