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기.jpg
▲ 김민기 (사) 인천언론인클럽 명예회장

우리나라 재계 순위 16위, 자회사(종속회사) 22개 사, 자산 총계 21조7천억 원의 거대 부영그룹이 인천 송도 테크노파크 조성을 두고 인천시와 관할 연수구를 상대로 보이지 않는 주도권 싸움을 벌이고 있다. 총면적 53만8천952㎡ 부지에 테마파크와 주거용 공동주택·상업용지를 개발하겠다는 대규모 사업이다.

 송도 테크노파크 부지는 1980년대 갯벌을 매립해 조성됐으나 당국의 감시 소홀로 다량의 폐기물이 불법 매립돼 왔다. 당시 청소업체인 위생공사와 경일기업, 한독 등 3개 회사가 유원지 조성을 목적으로 매립하면서 소유권이 한독에서 대우자판으로 넘어갔다. 이후 법정관리에 들어간 대우개발㈜의 파산으로 경매시장에 나온 땅이다. 최초 경매가 1조100억 원이 계속 유찰되자 부산저축은행이 7천억 원에 낙찰 받은 것을 부영이 3천억 원에 매입한 것이다.

 시는 당초 부영과 도시개발을 조건으로 테마파크사업 완공 3개월 전에는 도시개발사업 용지 내에 아파트 착공, 분양을 하지 못하도록 조건부 인가조건을 부영 측에 내걸었다. 이는 부영 측이 테마파크 조성을 제쳐둔 채 돈이 되는 아파트 건설에만 치중할 경우를 미리 막기 위해서였다. 이 같은 와중에 부영 측이 돌연 도시개발 구역 내 주거·상업용지를 65%(종전 54.2%)까지 올려 달라고 관할구청에 요청한 것이다. 이렇게 되면 아파트 가구 수는 최대 4천690가구로 늘어나게 된다. 이럴 경우 도로와 기반시설 용지는 종전 45.8%에서 35%로 대폭 감소하게 된다.

 부영의 이 같은 요구는 테마파크 용지 땅속에 폐기물과 토양오염 정화처리 비용이 2천억 원에 달해 도시개발 사업구역의 아파트 가구 수를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당초 부영이 부산저축은행이 7천억 원에 낙찰받은 가격을 반값에 매입한 것은 땅속에 묻혀있는 폐기물 처리비용을 내세워 헐값에 매입했다는 것이다.

 부영이 송도 테크노파크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선결과제가 있다. 그것은 땅속의 폐기물에 대한 처리와 이에 따른 토양오염 조사 및 그 결과에 따른 적정 처리다. 현재 테마파크 조성 터에는 1.5m 깊이로 35만2천833㎡(49만3천969t) 넓이의 폐기물이 묻혀 있다. 처리비용도 엄청나지만 문제는 이 폐기물을 처리할 장소가 마땅치 않다는 것이다. 수도권매립지 측은 부영 측의 비위생 매립 폐기물의 반입을 반대할 가능성이 크다. 생활쓰레기와 건설폐기물, 사업장폐기물 등이 뒤섞여 있어 선별하지 않고는 반입이 곤란하다. 사설 매립장이나 사설 소각장에 맡겨야 하지만 t당 처리비가 20만 원이 넘는다는 것이다. 더욱 문제 되는 것은 폐기물 매립으로 인한 토양오염 여부의 확인 절차와 적정 처리다. 인천 지역사회는 조사 단계부터 투명성을 요구하고 있다. 토양오염 확인조사는 부영 측이 아니라 자치단체가 전문기관에 의뢰해야 한다는 것이 인천 지역사회의 여론이다. 인천 환경단체는 부영이 연말까지 환경영향평가를 비롯해 행정절차를 마치지 못하면 시가 더 이상 사업 기간을 연장하지 말고 자동 실효시켜 원점에서 다시 친환경 테마파크 계획을 수립토록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땅 절반 가까운 면적을 용도변경해 도시개발 사업을 추진한다는 것은 엄청난 특혜라며 송도 테크노파크만큼은 세계적인 수준에 걸맞은 테마파크 조성이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이런 와중에 부영이 인천의 유력 일간지를 사들였다. 인천에서 각종 대규모 사업을 전개하면서 언론으로부터의 방패막이 언론사를 인수한 것으로 세인들은 보고 있다. 그런데 이것이 지금 부영의 자충수로 작용하고 있다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적자생존으로 힘겹게 유지되고 있는 수도권 지방언론사들이 경쟁의 대상이 되고 있는 형상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