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단스마트시티 무산은 인천시에 큰 후유증을 남겼다. 막대한 혈세 낭비와 베드타운 우려 등이다. 피해 규모는 최소 100억 원에서 최대 1천억 원에 달한다.

감사원은 지난 6월 검단스마트시티 조성사업이 무산되면서 지역에 116억 원의 손실을 끼쳤다고 발표했다. 감사원의 ‘인천검단지구 택지개발사업 관련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검단스마트시티 조성사업 협상으로 10개월 동안 검단지구 택지개발사업 조성공사가 중단되면서 116억 원의 이자 비용이 발생했다고 추산했다.

이는 같은 해 2월 검단스마트시티 협상 과정에서 투자자인 두바이 측이 마스터플랜 수립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이유로 1-1공구 조성공사 입찰공고 중단을 요청했고, 시가 수용했기 때문이다. 감사원은 입찰공고 중단으로 당초 계획한 일정보다 공사가 지연될 경우 공사기간을 앞당기기 위해 추가적인 공사 비용 등을 부담하게 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인천도시공사 노동조합이 추정한 손실액은 1천278억 원에 달한다. 도시공사 노조와 감사원이 내놓은 손실액 규모가 다른 것은 사업 지연 기간과 규모를 다르게 잡아서다. 노조는 사업 지연 기간을 2015년 3월 3일부터 2016년 11월 17일까지, 감사원은 2016년 3월 2일부터 12월 1일까지로 봤다. 노조와 달리, 감사원은 1-1공구 면적만을 대상으로 했다.

스마트시티 무산 이후 인천시와 인천도시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공동으로 ‘검단신도시 개발사업’을 진행 중이다. 검단신도시 개발사업은 오는 2023년까지 인천 서구 당하·마전·불로·원당동 일원에 11.2㎢ 규모의 택지를 개발하는 사업이다. 총사업비만 10조8천218억 원이 투입된다. 도시공사와 LH가 각각 50%의 지분을 가진다. 계획인구는 7만4천736가구 18만3천670명이다.

도시공사는 현재 검단신도시 특화계획 수립과 관련된 연구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결과는 오는 12월에 나온다. 앞서 시가 내놓은 특화계획은 ‘인천의 미래를 선도할 테크노밸리 구축’, ‘경인아라뱃길과 연계한 건강한 에코힐링도시‘, ’에듀타운 조성 등 가족 중심의 교육문화도시 조성’ 등이다.

하지만 실현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테크노밸리의 경우 50만㎡의 도시지원시설과 7만㎡의 물류시설로 구성되고, ICT(정보통신기술)산업지원단지 등 인터넷 IT산업을 육성하며 중소 창업인을 지원할 단지를 조성하는데 기업이 인근에 있는 경제자유구역 송도와 영종, 청라 등이 아닌 검단에 입주할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검단 이 외에 수도권에는 서울디지털산업단지와 판교·용인·동탄·광교·고양일산테크노밸리 등 첨단산업단지가 차고 넘쳐난다. 이 때문에 당초 계획이 아닌 베드타운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팽배하다. 도시공사 측은 10월 현재 1단계 사업 공정률이 7.6%라고 밝혔다. 올해 목표 공정률은 15%다. 지난 3월부터 9월까지 9필지에 대한 공동주택용지 공급계약을 맺어 올해 매각목표 4천828억 원 대비 6천337억 원의 매각 달성(131%)을 이뤘다고 했다. 도시공사 관계자는 "오는 12월 사업계획 수립이 완료되면 검단신도시의 구체적인 그림이 그려질 것"이라고 말했다.

조현경 기자 cho@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