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유해 영상.jpg
▲ 사진 = 아이클릭아트
경기도내 청소년들의 인터넷을 통한 성인물 접근이 어렵지 않게 이뤄져 인터넷 유해물 차단 방식 수립에 대한 교육당국의 면밀한 검토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8일 경기도교육연구원이 발표한 ‘경기도 학생의 정보매체 활용 실태에 따른 교육정보화 지원사업 개선 방안’에 따르면 도내 청소년 1천769명을 표본 추출해 설문한 결과, 인터넷 등을 통해 성인물이나 폭력물 등 유해 영상물을 이용해 본적이 있다고 응답한 수가 495명(28%)에 달했다.

학교급별로 보면 고등학생이 291명으로 가장 많았고 중학생이 160명이었으며, 초등학생도 44명이나 됐다.

유해 영상물을 이용한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학생들 중에서도 유해 사이트 접속 시도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학생이 136명에 달했다.

유해 영상물 이용 경로를 보면 인터넷 포털사이트가 가장 많았으며, 이어 인터넷 실시간 방송 및 동영상 사이트, 인터넷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순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청소년들이 유해 영상물 접근시 성인 인증이 제대로 안되고 있고, 유해 사이트 차단 서비스 역시 제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대부분의 이용 경로에서 ‘성인인증 절차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응답한 학생이 ‘성인인증 절차가 있었다’는 응답보다 더 많았다.

또 집에서 사용 중인 컴퓨터에 유해 사이트 차단 기능이 설치됐는지를 묻는 질문에 ‘잘 모르겠다’는 응답(57.5%)이 가장 많았고, ‘설치돼 있다’는 응답(22.8%)이 ‘그렇지 않다’는 응답(14.8%)보다 많았다. 유해 사이트 차단 기능이 설치됐다고 응답한 경우, 작동은 잘 되지만 피해갈 수 있다는 응답이 6.8%나 돼 컴퓨터에 대한 지식만 조금만 갖춘다면 해당 기능을 무용지물로 만들 수 있는 여지도 확인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소년들의 인터넷 이용에 대한 학교나 가정에서의 통제는 미흡한 실정이다. 가정에서 인터넷 사용에 대해 부모로부터 전혀 간섭받지 않는다는 응답이 남·여 학생 각각 283명(33.7%), 435명(46.9%)으로 나타났고, 학교에서 성인용 영상물로 인한 피해 예방 교육을 이수한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도 남·여 학생 각각 172명(20.5%), 270명(29.1%)으로 조사됐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정보윤리 및 올바른 인터넷 활용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수립이 필요하다.

도교육연구원 관계자는 "다기능 복합화 된 컴퓨터 및 스마트폰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기술적 교육도 필요하지만 정보화 역기능을 예방하기 위한 교육도 필요하다"며 "또 교육 당국에서는 유해 사이트 차단기능의 도입을 확대하는 방향의 정책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나훔 기자 hero43k@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유해 영상물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