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검단.jpg
▲ 인천 검단 스마트시티 조성 계획이 신기루 처럼 사라져 버린 인천 검단신도시 1단계 사업구역 부지. /사진 = 기호일보 DB

민선 6기 시정부의 대표적인 흑역사(黑歷史)로 ‘검단스마트시티 조성 사업’이 거론된다. 유정복 인천시장의 첫 외자 유치 사업이라는 점에서 그렇다. 사업 추진과정에서 사업시행자에 대한 철저한 검증 없이 협상에 들어간 시의 무능력한 외자유치 능력이 도마 위에 오르내렸다. 협상 초기부터 시작된 각종 의혹은 사업 무산 후 1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꼬리에 꼬리를 물고 있는 형국이다.

18일 시에 따르면 검단스마트시티 조성 사업은 서구 검단새빛도시 내 470만㎡의 터에 두바이 자본을 끌어와 정보통신기술과 바이오산업, 영화·미디어산업, 패션산업 등 1천500여 개의 국내외 기업을 유치해 첨단자족도시를 건설하는 대형 프로젝트였다. <관련 기사 3면>

이 사업은 당초 ‘퓨처시티’라는 이름으로 시작됐다. 유 시장은 2015년 3월 두바이에서 칼리파 알 다부스 퓨처시티 CEO를 만나 두바이투자청이 36억 달러(약 4조 원) 규모의 ‘퓨처시티’를 검단지역에 건설한다는 데 합의했다. 협상을 시작한 지 한 달 만에 논란이 일었다. 이한구 인천시의원은 같은 해 4월 제224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이미 다른 지자체에서 공수표가 된 유사한 투자유치 계획을 마치 새로운 획기적인 투자유치 계획인양 과대포장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사업은 돌연 퓨처시티에서 검단스마트시티로 변경됐다. 시는 같은 해 6월 스마트시티두바이(SCD)와 양해각서(MOU)를, 2016년 1월에는 최고의 자족도시 건설을 위한 프로젝트에 협력하는 합의각서(MOA)를 체결했다. 이후 시와 두바이 국영기업 스마트시티사는 같은 해 10월 ‘검단스마트시티 기본협약서 체결식’을 가질 예정이었다.

하지만 체결식 직전 전격 취소를 통보했고, 결국 11월 무산됐다. 협상 초기 제기됐던 우려가 현실로 나타난 것이다. 시의회 지적대로 두바이 측은 지난 2008년과 2011년 각각 제주도와 파주시에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을 추진했으나 무산된 전력이 있었다. 파주시와 두바이 측은 ‘파주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이는 파주시 파주읍 일원 372만㎡의 터에 1조6천억 원을 투입해 페라리월드와 스마트시티 등을 조성하는 사업으로, 지난 2013년 두바이 스마트시티 최고경영자(CEO)가 방한했으나 수포로 돌아갔다.

유 시장은 최근 열린 간부회의에서 "검단스마트시티도 그동안 오해가 있었지만 저쪽(두바이 측)에서 요구하는 대로 우리가 응할 수는 없었다"고 말했다.

조현경 기자 cho@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