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 아라뱃길에 대한 비난이 정파적 이해관계로 도를 넘어서는 건 아닌지 걱정스럽기만 하다. 물론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지난 19일 지적된 바와 같이 아라뱃길의 물동량과 이용량, 여객 실적이 당초 계획보다 한참 미달하고, 투자비용도 절반밖에 회수되지 못하고 있는 건 분명한 사실이다. 하지만 사업 자체를 "국민적 반대에도 불구하고 밀어붙였다"거나 "국토에 생채기만 남긴 적폐"라 주장하고, 아라뱃길 물동량을 "대국민 사기극"이라고까지 몰아붙이는 건 너무 지나친 표현이 아닌가 싶다.

 아라뱃길의 가치는 ‘홍수통제, 물류난 해소, 관광·레저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세 가지 관점에서 봐야 한다. 우선 가장 중요한 목적인 홍수통제는 매우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과거에는 홍수 시 굴포천 수위보다 한강이 4m 이상 높아지며 굴포천 유역에 큰 침수피해가 반복됐으나, 아라뱃길 덕분에 대부분의 유량이 서해로 배출됨으로써 침수피해가 원천적으로 예방되고 있다. 이렇게 해마다 절감되는 기회 손실에 대해선 왜 언급을 안 하는가.

 물론 물류 역할은 현재까지의 추이를 볼 때 실패한 것으로 보는 게 합리적인 판단인 듯하다. 하지만 언제부터 국가 개발사업을 수요로만 결정했는가. 애초에 전문가들은 아라뱃길 같은 내륙수로를 이용할 경우 ‘환경오염, 교통체증, 교통사고, 물류시간’ 등 다양한 문제점들이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비슷한 이유에서 EU는 보조금 같은 지원제도를 통해 ‘친환경 연안해운’이 활성화되도록 노력 중에 있다. 이처럼 아라뱃길 사업도 대부분의 국가 개발사업이 그래왔듯 나름의 합목적성을 갖춘 프로젝트다.

 이제는 지금까지 드러난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아라뱃길이 어떻게 적응하고 변신해야 하는가’에 초점을 맞출 때다. 본보(8월 8일자)는 ‘아라뱃길을 단순히 화물을 실어 나르는 물길보다 관광·문화·상업·공공서비스가 결합한 융·복합 수변관광지로 바꿔 나가자’고 제안한 바 있다. 인천은 조선·선박, 전자·기계, 목재 등 해양산업을 위한 제반 인프라와 168개의 유·무인도가 앞바다에 펼쳐져 있는 ‘해양관광산업을 발전시킬 천혜의 조건’을 갖춘 곳이다. 때로는 약점을 보충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보다 강점에 주력하는 게 현명하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