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로 개항 31년을 맞은 평택·당진항(이하 평당항)이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뤘으나, 국제물류 거점항만과 도시의 상생·지역경제 활성화 등의 중추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역주민들의 정치적·경제적 측면에서 주도적인 참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동현<사진> 평택대학교 국제물류학과 교수는 평택대에서 지난 25일 KMI-PTU 환황해권해양물류연구센터 주최로 열린 ‘평택항 발전을 위한 시민토론회’에서 ‘평택항 발전을 위한 지자체 및 시민단체의 역량강화 방안 모색’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주장하며 시민단체 신설, 산관학연 네트워크 구축, 정치권 포함 협의체 설립 등 다양한 지역 조직화를 강조했다.

이 교수는 지난 1986년 개항한 평당항은 31년 동안 시설능력, 물동량 처리, 선박 입출항, 항만 배후단지 운영 등에서 괄목한 만한 성장을 이룩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그는 앞으로 평당항이 국제물류 거점항, 항만과 도시의 상생, 지역경제 활성화 등의 중추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역주민, 시민단체, 지자체 등 지역사회의 역할이 반드시 필요하나 현재 이 같은 역할을 수행하기에는 지역사회의 역량이 미흡하고, 주도 세력도 부재한 실정이라고 꼬집었다. 이에 이 교수는 지역사회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며 무엇보다 지역주민들이 평당항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정치적, 경제적 측면에서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현재 남경필 경기도지사가 수립한 ‘2040 비전’에도 이런 내용은 누락돼 있고 경기도민은 물론 평택시민들도 평당항의 문제를 지역의 문제로 적극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평택시민은 평당항이 경기도의 유일한 항만이며 지역의 핵심 자산이라는 시각 하에 자발적인 문제의식과 소명감을 갖고 시민단체 등으로 조직화해 중앙정부와 정치권, 지방자치단체에 대해 다양한 목소리를 내는 것이 절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이 교수는 사례로 부산과 인천에서 시민단체가 중심이 돼 항만공사의 자율성 보장, 항만 자주권 확보, 항만산업 균형발전 등에 대한 목소리를 정치권에 강하게 제시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와 함께 그는 지방자치단체와 시민단체 등이 인적·물적·사회적 자본 등 3가지 자본(tri-capital)을 개발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이 교수는 시민단체의 신설, 산·관·학·연 네트워크 구축, 정치권이 포함된 협의체 설립 등 다양한 차원에서 지역 조직화가 이뤄져야 하고 이를 통해 평당항의 핵심 이슈를 창출하고 확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평택=홍정기 기자 hjk@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