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 6·8공구 헐값매각 의혹의 여진이 인천을 뒤흔들고 있다. 두어 달째 계속되는 그 흔들림은 전·현직 시장들의 배임 의혹으로 진화하고 있다. 진원은 정대유 전 인천경제자유구청 차장이 SNS(사회적관계망)에 폭로한 ‘검은 커넥션’이었다.

진앙의 깊이와 지진의 규모 등 실체 파악은 뒷전으로 밀려나있다. 일부 시민단체 인사들은 정 전 차장 주장에 흑색선전을 덧대 의혹 부풀리기에 바쁘다.

정치권은 내년 지방선거 표를 목표로 헐뜯기 수위를 높이고 있다. 그 사이 인천은 ‘몹쓸 동네’로 투자자들의 눈밖에 났다. 본보는 의혹의 실체에 다가서고 송도 6·8공구 개발 정상화의 길을 짚어본다. <편집자 주>

1-600.jpg
▲ 지난 2008년 151층 인천타워 기공식을 가진 뒤 10년 이상 방치된 송도 6·8공구 랜드마크시티 핵심 부지 M6블록 전경. /기호일보 DB
인천 송도국제도시 6·8공구의 핵심사업은 단연 M6블록에 들어서기로 한 높이 587m 규모의 151층 인천타워의 건립이었다.

이 사업이 무산되면서 국제비즈니스 도시와 랜드마크시티를 지향한 송도 6·8공구 일대 건축물 경관은 후퇴했으며 ‘아파트와 오피스텔만 들어서는’ 베드타운으로 전락한 상태다.

새 사업자가 나서 층수를 대폭 낮춘 ‘68 타워’를 지어 보겠다고 했지만 100% 이상 업무용 오피스로 채우라는 ‘현실성 없는’ 관할 관청의 요구로 이 사업은 또 한 번 좌초됐다.

29일 인천경제자유구역청 등에 따르면 151층 인천타워의 무산 결정은 어떻게든 재정 위기 돌파구가 필요했던 인천시와 부동산 경기 침체가 조합된 ‘이성적’ 선택이었다.

2010년께 송영길 전 시장은 선거 공약 등으로 6·8공구 사업의 전면 재검토와 송도랜드마크시티(유)(SLC)와의 사업 조정을 통해 토지매매가 상향 등으로 3조의 (원도심)도시재창조기금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계약 조정이나 SLC로부터 부지 환수 등의 협상을 벌여 원도심 균형발전을 위한 개발재원으로 사용하겠다고 한 것이다.

하지만 인천경제청은 송 전 시장의 공약 이행 여부를 떠나 이미 151층 쌍둥이 빌딩은 건립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업계는 지금도 151층 빌딩은 사업성이 없어 지을 수 없다고 한다.

3조∼4조 원이 소요되는 초고층 마천루가 안정적으로 건립되기 위해서는 전 세계적 마천루 사례가 증명하듯 해당 부지가 국제적인 경제 중심지여야 하며 수많은 기업과 인구가 밀집돼 있어야 가능하다는 얘기다. 특히 토지대금을 포함한 천문학적 사업비를 금융기관으로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로 조달하고 시공사는 이에 대한 책임준공 보증을 서야 하는 상황에서 2010년을 전후로 해 이 같은 금융 리스크를 감당할 금융사나 시공사는 없었다는 게 당시 인천경제청의 종합적 검토 결과였다.

심지어 부동산 활황기를 맞고 있는 최근에도 송도국제도시 내 오피스 공실률은 50%를 육박하고 있어 당시 암울한 오피스 빌딩의 분양 상황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인천경제청은 151층 인천타워 무산을 근거로 SLC와의 사업 파기를 위한 소송을 벌여도 ‘승소 가능성은 낮다’는 법률 자문을 받았다. 인천경제청과 시는 최종적으로 SLC에 공급하기로 한 228만㎡ 중 34만㎡만 적정 가격에 주고 나머지 모두 회수해 시 재원 확보에 쓰는 것이 가장 타당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따라서 SLC가 151층 인천타워를 포기하기는 대신 아파트만 지어 개발 이익을 최대화하고 시와 경제청은 이를 부추겼다는 주장은 사실과 동떨어져 있다.

김종국 기자 kjk@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인천타워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