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8.jpg
▲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의 최대 규모 개발사업인 6·8공구 사업이 무산됐다. 지난 2008년 151층 인천타워 기공식을 가진 뒤 10년 이상 방치된 송도 6·8공구 랜드마크시티 핵심 부지 M6블록 전경. 이진우 기자 ljw@kihoilbo.co.kr
‘아파트와 오피스텔만 들어서고 있는’ 송도 6·8공구 개발사업이 아파트와 오피스텔 및 일부 상업시설 배치로 끝날 공산이 크다.

151층 인천타워와 68 쌍둥이 빌딩 건립이 인천시의 뜻에 따라 연거푸 무산되면서 서울 여의도 금융권은 ‘인천 사업에 대한 불신임’을 안팎으로 표명하고 있다. 여기에 초고층 업무시설의 낮은 수익성을 보완해 줄 ‘알짜배기’ 주택용지는 시 재정 건전화라는 명목으로 팔아 치워 거의 동이 난 상황이다. 국제 비즈니스 도시와 송도의 랜드마크시티를 지향했던 송도 6·8공구 개발 원안은 이 같은 거대한 난관에 봉착해 있지만 인천경제청은 ‘뜬구름’만 잡고 현실성 있는 대책은 아직 내놓지도 못하고 있다. 오히려 인천경제청은 정대유 전 인천경제청 차장이 SNS(사회관계망)에 제기한 송도 6·8공구 비리 의혹을 소명하느라 정신이 없는 형국이다.

국내 굴지의 대기업과 국책은행 등으로 구성된 민간사업자가 지난달 중순께 인천지방법원에 ‘송도 6·8공구 우선협상대상자 해제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 등을 공식 제기함에 따라 소송까지 치러야 할 판이다. 1일 인천경제청 등에 따르면 2008년께 계획된 송도 6·8공구 일원 582만8천여 ㎡의 터에는 ‘친환경, 미래도시’라는 테마로 아시아의 랜드마크가 될 151층 인천타워와 인공호수, 골프장, 공원, 공공시설, 업무 및 상업시설 등 이국적인 경관으로 밑그림이 그려져 있다. 하지만 10년이 지난 현재 이 터에는 흙 먼지를 날리며 ‘성냥갑’ 아파트와 오피스텔만 하염없이 올라가고 있다.

2005년부터 900억 원에 가까운 자금을 쏟아 부어 이 사업을 주도한 민간사업자는 송도 6·8공구 땅을 채무상환에 쓰겠다고 결정한 시의 결정에 따라 151층 인천타워 터를 포함해 194만여 ㎡ 규모의 땅에 대한 개발권을 시에 넘겼다. 그 사이 시와 인천경제청은 송도 6·8공구 절반에 가까운 135만4천여㎡의 땅을 부동산 시장에 내놔 2조1천580억 원의 세외수입을 챙겼다. 향후 1조8천389억 원의 미매각 토지를 다 팔고 나면 총 3조9천969억 원의 수입이 확보된다.

인천경제청은 지난해 말 송도 6·8공구 원안 개발에 다시 나섰다. 하지만 국제공모를 통해 선정된 우선협상대상자가 ‘경제자유구역 지정 목적에 맞지 않는 개발사업을 한다’는 등의 이유로 이들을 내쳤다. 이 같은 상황에서 인천경제청은 71만여 ㎡의 골프장 부지의 용도변경을 추진한다는 등의 발언을 해 물의를 빚는가 하면 해외 부동산개발업체 C사는 인천경제청과 사전 협의도 없이 송도에 인공해변을 조성하겠다고 발표하는 등 혼란만 가중되고 있다.

주민들 또한 송도 8공구에 남은 R2블록(15만여 ㎡) 등이 오피스텔 개발로 변질되지 않도록 청원 운동을 벌이면서 분양가에 포함된 워터프런트 및 랜드마크 타워의 원안 건립을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

업계 역시 송도 1·3공구 내 초고층 업무시설이 텅텅 비어 있는데 6·8공구마저 층수만 50층에 육박하는 공동주택이 빼곡히 들어서는 상황에서 마천루는 의미가 없다고 한다.

초고층 마천루를 짓기 위해서는 공사 기간만 최소 70개 월로 부동산 경기의 부침을 모두 감당해야 될 뿐만 아니라 거듭된 사업 무산으로 인한 대출 리스크의 증폭, 업무시설의 선착공을 요구하는 인천경제청의 반시장주의적 태도 등에 누구도 랜드마크 사업에 뛰어들 수 없는 구조라는 이유에서다.

이처럼 송도 6·8공구 개발사업은 실체 없는 논란만 거듭되는 등 갈지자 행보를 계속 이어갈 뿐, 속시원한 해답은 나올 기미가 없어 인천의 또 다른 짐이 되고 있는 모양새다.

김종국 기자 kjk@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