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문화재.jpg
▲ 수원시 팔달구 세계문화유산 화성 화서문 일원에서 수원소방서 소방관들이 만약의 화재에 문화재를 지키는 진화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사진 = 기호일보 DB
경기도내 다수 문화재에 설치된 소방 시설이 노후화나 고장 등으로 무용지물이거나 아예 소방시설이 설치가 되지 않아 화재에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경기도가 경기도의회 김달수(민·고양8)의원에게 제출한 ‘문화재, 전통사찰 및 목조건축물 등 소방안전 점검현황 및 조치결과’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5년부터 올 7월까지 594개 문화재와 343개 전통사찰을 대상으로 소방, 안전 점검이 실시됐다. 점검 결과, 문화재 223개 소와 전통 사찰 75개 소에서 지적사항이 나왔다.

도내 문화재가 대부분 목재인 경우가 많아 작은 불씨에도 큰 화재로 번질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초기 진화용 소화기 시설의 관리가 가장 중요한 상황이다. 하지만 도내 문화재의 경우 소화기가 제 위치에 배치돼 있지 않거나 소화기의 개수가 부족한 경우가 상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소화기가 설치돼 있더라도 소화기가 부식돼 있거나 사용연한이 지난 소화기가 설치돼 있기도 했으며 충압이 불량해 화재 진화가 어려운 경우도 있었다.

올해 실시된 점검에서는 남양주 ‘여경구가옥’은 소화펌프가 고장나 있었으며, 화성 ‘정용채가옥’은 소화전 공구함이 설치돼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점검에서도 안성 ‘덕봉서원’의 호스릴과 소화전이 동파돼 있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천 ‘심원사지’의 소화전은 펌프가 불량한 상태였다.

파주 ‘윤관장군묘’는 접지시설이 확보되지 않았으며 수원 ‘화성행궁’도 절연저항이 부적합한 것으로 조사됐다. 여주 ‘신륵사극락보전’ 등 일부 문화재는 낙뢰 피해로 인해 소방시설이 파손되기도 했으며, 화재나 재해 발생시 활용해야 하는 매뉴얼을 제대로 갖추지 않는 곳도 22개 소에 달했다.

전통사찰을 대상으로 실시된 점검에서도 소화기가 제대로 설치돼 있지 않거나 소방시설이 작동하기 위한 전기시설이 불량한 경우도 상당했다. 특히 소방차 진입로가 확보되지 않아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소방차가 진입할 수 없는 사찰이 21개 소에 달했지만 사찰의 특성상 산속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소방차 진입로를 확보하기에는 막대한 비용이 필요해 소화기나 옥외소화전, 비상소화장치를 보강하는 데 그친 곳이 대부분이었다.

김 의원은 "문화재산은 한번 소실되면 복구하더라도 그 가치를 잃게 되기 때문에 일반 시설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화재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진욱 기자 panic82@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